페이스북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유튜브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안녕하세요. 캐나다 아시아태평양재단에서 2024년 9월부터 2025년 2월까지 KF Junior Scholar로 파견 근무하게 된 홍우주입니다.
11월은 East Asia Forum에 최종적으로 글을 출판하고, 올 하반기 기관의 가장 중요한 행사 중 하나인 CPTPP 정책 포럼이 개최된 바쁜 한 달이었습니다. 동시에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전문성을 키우고 소중한 경험을 쌓을 수 있던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저희 팀의 엄태연 연구원님과 함께 East Asia Forum에 한국 청소년 기후 소송 관련 기사를 투고하였고, 여러 차례의 수정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출판되었습니다. 이 글은 2020년 3월 청소년 기후행동 소속 청소년 19명이 한국 정부를 상대로 헌법소원을 제기한 사건을 시작으로, 2024년 8월 29일 한국이 아시아 최초로 기후 소송에서 승소한 사례를 다뤘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소송 배경과 정책적 함의, 그리고 해외 유사 사례를 조사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저희 재단은 캐나다 외교부(Global Affairs Canada)와 협력하여 CPTPP 발효 6주년을 맞아 ‘포괄적 무역(Inclusive Trade)’을 주제로 정책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포럼은 밴쿠버에서 열린 CPTPP 위원회 제8차 회의를 계기로 진행되었습니다. 포럼의 주요 행사로는 캐나다 통상장관 메리 응(Mary Ng)과 호주, 칠레, 멕시코, 뉴질랜드의 장·차관 및 정부 대표들이 참여한 패널 토론이 있었습니다. 논의 주제는 CPTPP의 활용도를 높이고 소외 계층을 지원할 방안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저는 행사 운영 전반을 지원하며 성공적인 개최에 기여했습니다.
저희 재단은 캐나다의 주일본 대사이자 인도-태평양 특별 특사인 이안 맥케이(Ian McKay) 대사를 초청하여 일본의 정치적 역학이 캐나다-일본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대사는 캐나다의 인도-태평양 전략 시행 2년 차를 맞아 현재까지의 상황을 평가하고, 지난달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열린 ASEAN-캐나다 특별 정상회의와 최근 페루 리마에서 마무리된 APEC 정상회의에서 얻은 주요 통찰을 공유했습니다.
2025년은 한-캐나다 자유무역협정(CKFTA) 체결 10주년을 맞이하는 해입니다. 이를 기념하여, CKFTA가 한국 경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현재 가용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시각화 및 분석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협정의 경제적 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합니다. 이번 연구는 양국 간 무역 및 경제 협력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중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직장 동료들과 함께 Potluck Party를 즐기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저는 떡볶이를 준비했는데, 예상보다 반응이 좋아 뿌듯했습니다. 평소 자주 교류할 기회가 적었던 다른 팀 동료들과도 업무를 벗어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 더욱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KF아세안문화원
한-중앙아협력포럼사무국
코리아나
KF지원사업신청포털
KF 글로벌 e스쿨
국민공공외교
해외대학한국학현황
디지털아카이브
KF 통합예약포털
KF 글로벌센터
KF 글로벌센터 메타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