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활동 게시판 > 상세화면

[도서관] 미국 하버드대 하버드-옌칭도서관 이지은 5개월차

  • 등록일 2017.07.05


KF 글로벌 챌린저 월간 활동보고서



상세 활동 보고
작성자 이지은
인턴십 분류 도서관 인턴쉽
파견기관 Harvard-Yenching Library
파견기간 2017년 2월~ 2017년 11월 (총 10개월)
보고서 해당기간 5개월차
내용
이번 달엔 지역사회 건강통계 시리즈 370여권을 끝마치고 이어서 바로 초등학교-고등학교 교과서 400여권을 목록작업이 진행 중 입니다. 지역사회 건강통계 시리즈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기증을 받았는데, 특이한 점은 각 책마다 모두 다른 ISSN 넘버가 부여되어 있어서 레코드를 각각 따로 만들어줘야 했습니다. 각 레코드의 ISSN 넘버, 서명, 출판지, subject heading만 바꿔서 만드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걸렸습니다.
교과서의 경우에는 제목이 거의 같기 때문에 (ex: 국어, 사회 etc..) 레코드를 구분해주기 위해 출판사를 중점으로 모든 교과서를 나눠서 목록을 진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또한 한때 이슈가 되었던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의 정보를 정확히 명시하여 이용자들이 볼 수 있도록 레코드를 만들고 있습니다. 만약 같은 출판사에서 같은 과목의 여러 버전이 나온 경우에는,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찾아서 넣어주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번 달엔 약 한달 반 동안 함께 일할 시몬스 대학교 여름방학 인턴이 들어와서 트레이닝도 함께 시키고 있습니다. ALEPH 프로그램을 다루는 방법, OCLC에서 좋은 레코드를 구분하는 방법, copy cataloging을 하는 방법 등을 가르쳤습니다.

[4월달 주요 활동]

1. 지역사회 건강통계 목록 작업



<그림 1>과 <그림 2>가 목록작업이 완료된 지역사회 건강통계 책들입니다. 이 책은 모두 보존서고로 바로 보내질 예정입니다. 그리고 <그림 3>은 지역사회 건강통계의 목록 레코드입니다. Fixed field가 약간 다르고, 588 field에 첫 발행 정보를 넣어준다는 점에서 단행복 목록이랑 약간의 차이를 보입니다.



2. 교과서 목록 작업



<그림 4>와 <그림 5>는 현재 목록 작업중인 교과서들의 사진입니다. 교과서 작업이 더 까다로웠던 이유는, 저작권자와 발행자, 편찬자, 집필자 등이 모두 따로 표시되어 있었기 때문에, 알맞은 필드를 사용하여 정보를 넣어 주어야 했습니다. 필요에 따라서 같은 필드를 두 번 넣어주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한 시리즈의 책에서도 학년별로 나누어서 레코드를 각각 만들어 주었습니다. <그림 6>은 교과서의 목록 레코드입니다.




이렇게 수백 권의 시리즈가 한꺼번에 들어오면, 콜넘버를 미리 일괄적으로 만들어 둔 후, 레코드에 입력하면 편리하기 때문에, <그림 6>에 050 field가 아직 입력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콜넘버를 제외한 레코드를 미리 다 만든 후, 나중에 추가하여 OCLC에 레코드를 입력할 계획입니다.
방학을 하고 인력이 보충되어 좀 더 빠른 일 처리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달은 교과서를 마무리 한 후, 다음 달부턴 영화 포스터 목록에 들어갈 것 같습니다. 저번 달부터 계속해서 70년대 영화 포스터들이 수백 건 들어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제 벌써 인턴생활의 절반이 끝났습니다. 지금까지는 단행본 위주의 목록을 해왔는데, 다음 달부턴 더욱 다양한 자료들을 다루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