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활동 게시판 > 상세화면

[싱크탱크] 미국 우드로윌슨센터 조명혜 6개월차

  • 등록일 2025.01.08
 상세 활동에 관한 표입니다. 작성자, 인턴십 분류, 기관명, 프로그램기간, 보고서 해당기간,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작성자 조명혜
인턴십 분류 싱크탱크
기관명 미국, 우드로윌슨센터
프로그램 기간 2024년 6월~ 2024년 12월 (총 6개월)
보고서 해당기간 6 개월차
내용

안녕하세요. 저는 미국 우드로 윌슨 센터에서 6월부터 12월까지 KF Jr. Scholar로 파견 근무한 조명혜입니다. 시간이 빠르게 흘러 마지막 보고서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아래는 11월 주요 활동에 대한 보고입니다.

  • 1. 11/14 < Korea Congressional Alumni Event >

    - 11월 14일, 우드로 윌슨 센터의 Korea Center와 Congressional Relations 팀이 주최한 Korea Congressional Alumni Event가 미국 국회의사당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행사는 2022-2024 Korea Masterclass 참가자들과 2023년 주한 대표단 관련 의회 직원들을 위한 네트워킹 행사로, 한 해를 마무리하며 동문 간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행사는 오후 6시에 시작되었으며, 저는 다른 두 명의 인턴들과 함께 준비 및 운영을 지원하였습니다. 지난 보고서에서 설명했듯이 이 프로그램은 한국의 경제와 외교에 대한 깊은 이해를 미국 의회 보좌진들에게 제공하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Korea Congressional Alumni Event를 진행

  • 2. 11/15 < Korean Art as Collectibles in Collections Abroad >

    - 11월 15일, 대한제국공사관에서 KF 한미미래센터가 후원하는 한국미술 스피커 시리즈의 일환으로 강연회가 열렸습니다. 메리워싱턴대학교 김수지 교수님이 주관한 이번 행사에서는 다트머스대 김성림 교수님과 스토니브룩대 찰스왕센터 진진영 관장님이 발표자로 참여하여 해외에서의 한국 미술품 수집 및 보존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감사하게도 KF 한미미래센터에서 저희 KF 글로벌 챌린저들을 초청해 주셔서 흥미로운 강연을 듣고, 대한제국공사관 투어와 더불어 관련 전문가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대한제국공사관에서 설명문

  • 3. 11/18 < Meeting with Natalia(Stimson Center) >

    - KF 한미미래센터는 KF 글로벌 챌린저들이 다양한 기관의 전문가들 과의 만남을 격려해주시면서 KF 글로벌 챌린저가 근무하지 않는 다른 기관의 전문가들을 연결해 주셨습니다. 11월 18일에는 KF 한미미래센터의 주선으로 Stimson Center의 Natalia와 점심 미팅을 가졌습니다. Natalia는 Stimson Center Korea Program의 Research Analyst로 활동하며, 북한 전문 분석 매체 38 North의 Assistant Editor 역할도 맡고 있습니다.

    이번 만남은 제 관심 분야인 북한 연구에 대한 통찰을 얻고, 전문가와 직접 대화하며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이를 주선해주신 KF 한미미래센터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 4. 11/19 < The Wilson Center, Korea Center – KF Junior Scholar Final Presentation >

    - 이 날은 우드로 윌슨 센터에서 지난 6개월간의 연구를 마무리하며, KF Junior Scholar Final Presentation을 통해 제 연구를 발표하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제 발표 주제는 < DPRK-Russia Relations in the Post-Ukraine Invasion Era > 로, 러시아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변화하는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를 조선중앙통신과 로동신문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러시아-북한 관계에 관한 2,257건의 뉴스를 분석하고 72건의 구체적인 실질 협력 사례를 찾아낸 후 이러한 교류의 진행 과정과 주요 동인, 그리고 향후 북한-러시아 관계의 궤적을 살펴보았습니다. 특히 연해주와 두만강 지역의 경제 협력 중요성을 강조하며 양국 관계의 발전 가능성을 논의했습니다.

    - 발표에는 센터 내의 다양한 연구자, KF 한미미래센터 관계자, 타 기관의 KF 글로벌 챌린저들이 참석해 응원과 피드백을 제공해주셨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KF Junior Scholar Final Presentation을 통해 연구를 발표하는 모습KF Junior Scholar Final Presentation을 통해 연구를 발표하는 모습2

    KF Junior Scholar Final Presentation을 통해 연구를 발표하는 모습3
  • 5. 11/20 < NBR US-ROK Technology & Geoeconomic Cooperation Forum >

    - NBR의 이현주 님 초청으로 US-ROK Technology & Geoeconomic Cooperation Forum에 참석했습니다. 이번 포럼에서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무역 및 경제 경쟁과 관련하여 한국과 미국 간 협력의 방향성을 논의했습니다. 새로운 행정부 출범에 따른 양국의 관계 변화와 전략적 협력 방안이 주요 주제로 다루어졌습니다.

    US-ROK

  • 6. 11/22 < Brookings The future of alliances, partnerships, and the Indo-Pacific regional order >

    - 11월 22일, Brookings Institution에서 동아시아연구소(EAI)와 공동 주최한 토론회에 참석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2024년 미국 대선 결과가 인도-태평양 지역 내 미국 동맹국과 파트너 국가들에 미칠 영향을 다루며, 전문가들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주는 DC 내에서 한국 관련 행사가 활발히 이루어진 주간으로, 다양한 시각에서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Brookings Institution에서 동아시아연구소(EAI)와 공동 주최한 토론회가 진행중인 모습

  • 7. 인사 및 연락처

    - 지난 6개월 동안 KF Jr. Scholar로서 활동하며, 업무와 연구를 통해 한국과 국제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넓힐 수 있었습니다. 이 기간은 저에게 연구자로서, 그리고 실무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우드로 윌슨 센터와 Korea Center의 Troy Stangarone와 Kayla Orta께 깊은 감사를 전합니다. 두 분의 세심한 관심과 조언은 제가 연구와 업무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고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도록 큰 힘이 되었습니다.

    더불어, 낯선 환경에 있는 저희를 향한 지속적인 관심과 격려를 아끼지 않으신 KF 한미미래센터의 모든 임직원분들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센터의 따뜻한 지지 덕분에 DC에서의 새로운 도전들이 두려움보다는 설레는 기회로 다가올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이러한 귀중한 경험을 가능하게 해주신 한국국제교류재단(KF)에도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재단의 아낌없는 지원 덕분에 이번 프로그램은 제게 더욱 특별하고 의미 있는 여정이 되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 중 KF 글로벌 챌린저 참여를 고민하신다면, 저는 주저 없이 참여를 권하고 싶습니다.

    산타로 꾸며진 동상의 모습

    크리스마스 트리

    글로벌 챌린저 친구들과 한컷

    송별회 케이크

    송별회를 진행중인 모습

    Farewell Our Friend 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