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null > 상세화면

2021 AUTUMN

침묵이 흐르는 대학가 원룸촌

“원룸, 투룸, 자취방, 풀 옵션 방, 신축 원룸, 원룸 임대….”

대학가 골목 담벼락과 대로변 전신주, 가로수, 버스 정류장 쉘터에 붙여 놓은 전단들이 바람에 들썩거린다. 그러나 마스크를 쓴 채 지나가는 행인들은 아무런 관심이 없다. 대학가 주변에는 침묵만 가득하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대학가 임대업계는 걱정이 많다.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대학촌에 학생들이 사라졌고, 덩달아 원룸을 찾는 수요가 줄거나 끊겼다. 중국 유학생들은 오래전에 돌아갔고, 기존에 방을 쓰던 지방 출신 학생들도 떠나기 시작했다. 대면 수업이 재개되어 학생들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동안 월세가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img1.jpg

과거에는 타 지역에서 온 학생들이 학교 근처에서 대개 하숙을 했다. 방만 빌려 쓸 뿐 혼자 끼니를 만들어 먹고 살림을 해야 하는 자취 생활에 비해 하숙은 여러모로 이점이 많았다. 가족과 떨어져 객지에서 지내야 하는 학생들은 하숙집 아주머니가 만들어 주는 따뜻한 밥과 푸짐한 반찬들을 끼니때마다 먹을 수 있었고, 인심 좋은 아주머니들은 빨래와 청소까지 해 주기도 했다. 학생들은 그런 보살핌 속에서 외로움을 달래며 위안을 얻을 수 있었고, 함께 사는 다른 하숙생들과 마치 형제자매처럼 친밀하게 지내곤 했다. 하숙집 생활에는 농경 사회 대가족 체제의 공동체 정서가 남아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풍경들은 점차 추억 속으로 사라졌다. 1980년대 이후 전국적으로 대학과 대학생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한 지붕 아래에서 가족처럼 함께 사는 하숙으로는 수요를 감당할 수 없게 되었다. 여기에 더하여 과거의 가족적 공동생활보다 개인의 사생활 보호가 더 우선시되는 사회 분위기와 더불어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대학촌에 전 세대 원룸들로 구성된 신축 건물들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이로써 집주인과 학생들 사이의 끈끈한 인간적 관계는 임대인과 세입자 관계로 바뀌었다. 여기에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가 대학가 원룸촌에서 젊음을 비워 버렸다.

남향의 작은 베란다와 최소한의 규모만 갖춘 주방, 좁지만 그런대로 깔끔한 욕실, 붙박이장과 책상, 그리고 작은 침대 하나…. 젊은 날의 꿈과 고뇌와 열정으로 충만했던 원룸이 텅 빈 채 사나운 여름빛만 가득하다. 초가을 2학기가 시작되면 이 방에 희망을 품은 새 주인이 돌아올까?

김화영(Kim Hwa-young 金華榮) 문학평론가,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