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0 - Sapyoung
P. 100

서구권에 샤프 파워의 개념을 등장시킨 러시아가 이러한 종류

                               의 영향력을 추구하게 된 배경에는 탈냉전기 유일한 패권인 미국과

                               힘의 격차를 따라잡기 어려웠던 러시아가 대안적인 영향력을 추구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러시아뿐 아니라 많은 권위주의 레짐의 공공
                               외교가 소프트 파워를 발휘하는 데에 전반적으로 실패하는 것은 소

                               프트 파워 자체가 ‘인권’, ‘평등’, ‘자유’, ‘인류의 고귀함’과 같이 주

                               로 서구 민주주의가 중시하는 가치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치보다 국가 주권과 권위 및 공동체의 이익과 개인의 희생

                               을 우위에 두는 권위주의 레짐의 공공외교 메시지는 세계청중에게
                               매력적으로 보이기보다 반발심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그러한 증거는 러시아와 중국 모두 그동안 거대 국가 예산을 들
                               여 지구적으로 활발하게 전개해온 공공외교 활동에도 불구하고 퓨

                               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나 갤럽(Gallup) 등이 매년 수행
                               하는 세계여론조사에서 이들 국가에 대한 해외여론이 국가 호감도

                               (favorability) 등에서 압도적으로 부정적이라는 점이다. 거의 매년 수
                               행되는 이러한 세계여론조사에서 러시아에 대한 호감도나 러시아

                               대통령에 대한 신임도는 서유럽, 남미,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등 거

                               의 모든 지역에서 시간이 흐를수록 계속 하락하는 추세이다. <그림
                               2-3>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러시아에 대한 세계청중의 호감도는

                               2007년부터 2020년 사이 미국, 영국, 캐나다에서는 20%가 넘게 하
                               락했고, 한국과 스웨덴에서는 15% 하락했다.

                                  세계 전 지역에서 정력적으로 공공외교를 추진하고 있는 중국
                               과 ‘강한 러시아 건설’에 몰두하고 있는 푸틴의 러시아가 샤프 파워

                               를 추구하는 방식은 서로 다르지만 대상으로 삼는 국가의 정치사회






                               98   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








                                                                                           2022-05-11   오후 6:16:32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98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98                                                   2022-05-11   오후 6:16:32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