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일본 사회과 교육자 초청 연수

재단은 일본 청소년들의 한·일 관계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이를 토대로 한 미래지향적 협력관계 발전을 위해 일본의 사회과 중·고교 교사 25명이 참여하는 “제1회 일본 사회과 교육자 초청 연수”를 지난 11월 8일부터 11월 22일까지 2주간 개최했다.

금호현악사중주단

유럽 순회연주회
재단은 10월 16일부터 11월 4일까지 오스트리아, 독일, 이탈리아, 루마니아, 스위스, 벨기에, 프랑스, 영국, 체크 등 유럽 9개국 10개 도시에서 열린 금호현악사중주단의 순회연주회를 지원했다.

문화공개강좌

재단은 11월 5일에서 11일까지 유럽 3개국(영국, 독일, 스웨덴) 5개처(영국박물관, 옥스포드대, 셰필드대, 함부르크대, 스톡홀름 동양유물박물관)에서 “한국 전통 양반가옥의 구조와 의미”라는 주제로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김성우 교수의 강연회를 개최했다. 특히 영국박물관에서의 강연은 한국실 개관 기념 행사의 일부로서, 한국실 내에 설치된 사랑방 전시와 연계되어 많은 관심 속에 개최됐다.

한국패션아트 미국순회초대전

한국패션문화협회는 재단의 후원으로 뉴욕의 Parsons School of Design Gallery (2000. 11. 15∼2001. 1. 16), 오하이오의 Kent St-ate University Museum (2001. 2. 21∼9. 2), L.A.의 Fashion Institute of Design & Mer-chandise (2001. 10. 6∼12. 17)에서 전통적인 한국 복식의 특징을 패션 아트라는 현대적 장르로 표현한 한국 작가 55명의 작품을 전시한다.

한불사진전

재단의 후원으로 한국 및 프랑스의 사진작가 7명(배준성, 김정선, 배병우, 민병헌, 이정진, 스테판 쿠튀리에, 이자벨 와테르노)의 작품을 파리의 한국 문화원에서 11월 7일부터 21일까지 전시하였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한국: 인물과 풍경 (La Coree: Figures et Paysages)”을 주제로 양국 사진작가들의 시각으로 본 한국의 다양한 모습들을 보여주었다.

「KOREANA」

2000년 겨울호 발간
KOREANA 겨울호가 영문과 중문으로 발간되었다.
이번 겨울호에서는 태권도, 택견, 수벽치기를 중심으로 한 우리 민족의 전통무예를 특집으로 다루고 있으며 최근 남북화해의 기운 속에 다시 조명되고 있는 북한의 주요문화재에 대한 기사가 Focus로 게재되어 있다.
또한 인문학 연구방면의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온 고서점 통문관 주인 이겸로 옹에 대한 인터뷰 기사와 순창 고추장 장인 이기남 씨 취재기사, 금산약령인삼시장, 수정과, 생활 속에 활용되고 있는 숯에 대한 기사도 수록되어 있다.
한국문학작품으로는 이상의 “봉별기”가 이상의 작품세계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기사와 함께 실려있다.

「Korea Focus」

11·12월호 발간
Korea Focus 8권 6호가 발간되었다. 사설, 칼럼분야에서는 총 22편이 게재되었는데 정상회담 이후 실질적 성과물이 없는 상태에서 정부의 대북독주가 계속되고 있음을 비판한 “남북대화 ‘숨고르기’ 필요”와 북미관계 진전에 따른 남북관계의 우려 섞인 전망,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제시한 “북 조명록 방미와 남북대화” 등 최근 순탄치 않는 남북관계와 정부의 대북 협상력 부재를 논한 다수의 글을 실었다. 경제분야에서는 경제위기가 다시 도래할 것 같은 우려감속에 정부의 조속한 개혁추진을 촉구하면서 기업 및 은행 구조조정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개진되었다. 특히 국내외 불안요인보다도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땅에 떨어진 것에 우려를 표명한 “위기극복 신뢰회복부터”도 눈여겨 볼만하다. 그밖에 사회, 문화분야에서는 프랑스에 있는 우리 문화재 “외규장각 도서” 반환 문제와 관련하여 “차라리 국제재판으로 가자”와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 급증하고 있는 인터넷중독의 심각성과 그 예방법을 제시한 “‘인터넷 중독’ 처방은?” 등이 실려 있다.
논문분야에서는 한러수교 10주년을 맞이하여 정치, 외교 그리고 경제방면에서 양국관계를 평가하는 2편의 논문과, 사회·문화분야에서 ASEM이 나가야 할 바를 제시한 “서울 ASEM 정상회의: 과제와 전망”, 그리고 남북한의 역대정부들이 추진한 통일정책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통일방안을 모색해 본 “남북한의 통일전략과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방안” 등 총 7편의 논문들을 게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