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 한국학의 발전은 학자들의 부단한 노력과 의지에 달려 있습니다.”

한국국제교류재단은 지난 8월 14일, 북미 아시아학회(AAS: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의 로버트 버스웰(Robert E. Buswell) 회장을 초청하여 ‘미국 내의 한국학: 현황과 향후 과제’를 주제로 제7차 KF 포럼(Korea Foundation Forum)을 개최하였다.

1941년 설립 이래 67년을 이어온 북미 아시아학회 역사상 한국학 전공자가 회장으로 선출되기는 버스웰 회장이 처음이다. 이는 버스웰 회장의 학문적 업적에 대한 높은 평가일 뿐 아니라 북미 지역의 아시아학 연구에서 한국학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다.



한국학의 현위치
미국 UCLA의 한국불교학 담당 교수이기도 한 버스웰 회장은, 21세이던 1974년부터 5년간 전남 송광사에서 선(禪)을 수행한 바 있다. 당시 송광사 방장이던 구산 스님 밑에서 비구승으로 선을 수행하며 혜명(慧明)이란 법명을 받았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지난 1992년에는 『파란 눈 스님의 한국 선 수행기』라는 책을 내기도 했다.
이 강연에서 버스웰 회장은 “지난 20년간 미국 내 한국학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뤄왔으며, 한국학 학자의 AAS 회장 당선은 이를 입증하는 하나의 예다. 이러한 발전에는 한국국제교류재단이 기여한 바가 컸다. 그러나 아직도 북미 아시아학회 소속 학자 6,700명 중 한국학이 주(主) 전공인 학자는 400명 정도로, 이는 전체의 6% 수준에 불과하다”라고 밝혔다. 버스웰 회장은 또 향후 미국 내 아시아학 대학원생들 중 한국학 전공자 확대, 고대사 등 전근대시기 한국학(Pre-modern Korean Studies)에 대한 연구와 지원 강화 등 미국 내 한국학이 당면한 과제와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버스웰 회장에 따르면 미국 학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한국학 전공학자가 지난 20년간 급격히 증가했다고 한다.
하지만 여전히 중국학이나 일본학 전공자의 숫자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북미의 주요 아시아 전문가들로 구성된 AAS에는 약 6,700명의 학자들이 가입해 있는데, 그중 2,784명(42%)이 자신의 관심 분야는 중국과 중앙아시아라고 밝혔다. 2,188명(33%)은 동북아시아(한국과 일본), 729명(11%)은 남아시아, 862명(13%)은 동남아시아 그리고 67명(1%)은 특정 지역을 밝히지 않았다. 버스웰 회장은 최근 한국학의 급격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2~3명 이상의 한국학 교수가 재직하고 있는 대학의 숫자는 여전히 많지 않다고 말한다. 또한 대형 연구 중심 대학에서조차 한국학은 아직 확고히 자리 잡지 못한 실정이라고 밝히면서 미국 내 한국학의 어려운 상황을 전했다.

한국학 발전 방안
버스웰 회장은 한국학이 직면한 과제는 ‘새로운 석·박사급 전공자들을 어떻게 끌어들일 것인가’ 하는 것과 ‘한국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을 어떻게 도와줄 것인가’ 하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몇 해 전까지만 해도 한국학 전공학자들은 중국학이나 일본학에서 한국학으로 전환하는 경우나 한국에 평화 봉사단원, 군인, 해외 선교사로 파견된 인원으로부터 충원되곤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한국학을 전공하는 인적 자원이 한국계 1.5세 및 2세, 한국인 이민자 등 아시아계출신으로 편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버스웰 회장은 앞으로 다양한 인종과 다양한 출신의 학생들이 한국학을 공부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강연을 통해 버스웰 회장은 동아시아 연구의 중심으로 뿌리를 내린 중국학, 일본학처럼 한국학이 북미 학계 내에서 확고하게 자리를 잡기 위한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동아시아 연구 학자들이 좁은 의미의 국가 연구 방식에서 탈피해 보다 폭넓은 지역적 접근을 취하게 함으로써 고대 역사에서 차지하는 한국의 중요한 역할을 깨닫도록 해야 한다. 이는 결국 중국과 일본 위주의 관점에서 탈피해 동아시아에서 한국의 중심적 위치를 부각시킬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한국학이 중국학이나 일본학과 대등한 학문으로 취급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둘째, 근대 이전의 고대 중국과 일본에 대해 폭넓게 연구하도록 학자들을 유도했다면 이들이 결과적으로 고대 한국에 대한 연구도 심화하도록 해야 한다. 한국이 중국과 일본의 근대 이전 시기에 이미 통합적인 역할을 했음을 알게 하는 것이다.
강연을 마치며 버스웰 회장은 미국 내 한국학의 발전은 현세대 한국학 학자들의 부단한 노력과 의지에 달려 있음을 강조했다. 그리고 보다 혁신적인 한국학 연구 성과들을산출, 출판하는 동시에 차세대 학자들을 끊임없이 육성해낼 것을 촉구했다. 학자들의 이런 노력과 더불어 한국국제교류재단과의 협력 역시 한국학 발전을 위한 중요한 부분임을 강조했다.
아시아학 연구학계에서 상대적으로 위축되어 있던 해외 한국학계는, 1992년 한국국제교류재단 설립 이후 시작된 지원과 한국학 학자들의 헌신에 힘입어 미국, 일본, 중국등 세계 각지의 유수 대학에 정규 한국학 교수직과 강좌들을 개설하였다. 그리고 한국학 전공 대학원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는 등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이날 강연을 들으며 필자는 지금까지보다 더 어렵고 중요한 과제들이 이제 우리 앞에 놓여 있음을 새삼 깨달았다. 하지만 동시에, 버스웰 회장과 같은 친구들이 함께있어 그 길은 결코 외롭지만은 않은, 새로운 기회와 희망의 길로 이어지게 될 것임을 믿게 되었다.
석가탄신일 전에 ‘용맹정진(勇猛精進)’이라 해서 일주일동안 잠도 자지 않고 선방에 여럿이 앉아 참선을 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는 버스웰 회장. 이제 버스웰 회장이 북미 지역의 아시아학 및 한국학 발전을 위해 더욱 ‘용맹 정진’해줄 것을 기대하는 것은 필자뿐 아니라 많은 한국인들의 한결같은 바람일 것이다.
플라자 호텔에서 개최된 이번 포럼에는 김성엽 한국국제교류재단 기획이사를 비롯해 한나라당 조윤선 의원, 한림 국제대학원대학교 이상우 총장, 한미우호협회 박근 회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오만석 부원장 등 학계, 정계, 언론계 인사 약 100명이 참석해 강연을 경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