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유럽 한국학 역사의 출발지에 모인 젊은 학자들

한국국제교류재단, CNWS, LUF, 헤이그 주재 한국대사관의 공동 후원과 유럽한국학회(AKSE)의 협력 하에 제5차 유럽 한국학 대학원생 학술회의(KSGSC)가 29명의 발표자와 9명의 전문가 및 교수가 모인 가운데 지난 8월 21일부터 23일까지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의 립시우스(Lipsius) 건물에서 열렸다. 이번 학술회의에서 논의된 내용들을 싣는다.



한국학 역사, 현재, 미래의 공존
이번 대학원생 학술회의는 라이덴 대학 한국학 교수인 바우데바인 왈라벤(Boudewijn Walraven) 교수의 축사로 개회되었다. 왈라벤 교수는 서유럽 지역에서 한국학 연구와 관련된 기관 중 가장 오래된 곳인 라이덴 대학에서 독학으로 한국어를 배우던 시절, 불과 몇 명밖에 안 되는 사람들의 모임이었던 초기 학회의 모습을 소개하며, 그 역사의 현장에서 새로운 한국학의 역사를 써가고자 모여든 젊은 학자들에게 격려와 기대감을 아끼지 않았다. 축사에 이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학회 발전을 위해 지난해부터 조직되어 일해온 KSGSC 위원들이 차례로 소개되어 박수갈채를 받았다.
첫 패널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북한에 관한 문제를 주제로 다루었다. 빈(Vienna) 대학의 자비네 부르크하르트(Sabine Burghart)는 독일의 한 NGO 기관을 통해 기술과 정보를 수용하는 북한의 산업발전 프로그램에 대해 발표하였고, 이어 영국 UCL 대학에서 온 루트 슈이트하우어(Ruth Scheidhauer)는 경주와 개성의 문화유산을 두고 남북한에서 치열하게 벌어지는 정통성 논란을 다루었다.
두 번째 패널은 조선 역사에 대한 다양한 논문들을 발표하는 시간으로 구성되었다. 영국 런던대학 동양・아프리카학대 학(SOAS)의 앤드류잭슨(Andrew Jackson)은 영조실록에 나타난 무신란(戊申亂)을 분석하였고, 상트페테르부르크 민속박물관 연구원인 데니스 삼소노프(Denis Samsonov)는 남성의 머리장식과 조선후기 사회 위계질서와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고려대학교의 박진은 조선의 세자비 간택에 있어 잘못 알려진 사실들을 찾아 새롭게 재조명하였다.
같은 날 오후, 패널은 예술사 발표로 시작되었다. 베를린 자유대학의 마야 슈틸러 (Maya Stiller)는 저명한 승려들의 초상화가 어떻게 신격화 과정을 거치는가를 살펴보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의 김순영은 조선 후기에서부터 대한제국 시절에 걸쳐 이뤄진 사진의 대중화를 조망함으로써 시각예술의 근대화에 대해 논하였다.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온 얀 크로이첸베르크(Jan Creuzenberg)는 양혜규라는 독일과 한국 사이에서 부유하는 현대예술가를 소개했으며, 마지막으로 함부르크 대학의 카타리나 코시코브스키(Katharina Kosikowski)는 최근 다시 부활한 듯 보이는 1980년대 민중예술의 모습을 선보였다.
첫날 프로그램은 정치와 현대사회의 이슈로 끝을 맺었다. 함부르크대학의 안드레아 초롱 부허페니히는 한국과 독일 간의 문화적 심리와 그 차이를 연구하였고, 파리 7대학의 김준연은 혼혈아와 입양이라는 민감한 사회적 문제를 다루었다. 마지막 발표자인 에든버러 대학의 김영미는 노무현 정권 시절 지역주의와 선거법 논란을 주제로 발표하였다. 발표자의 열정과 끊임없이 이어진 열띤 토론으로 학술회의의 첫날은 쉴 틈 없이 지나갔고, 참가자들은 한국대사관이 주최한 만찬에서 비로소 여유를 되찾을 수 있었다.
둘째 날은 한국의 대중문화를 주제로 시작하였다. 영국의 사우샘프턴대학(University of Southampton)에서 온 이아람찬은 트라우마(trauma)라는 문화 이론으로 김기덕 영화를 분석했다. 이어 SOAS의 박미숙은 대중문화를 통해 만들어지는 민족 이데올로기의 문제를 다루었다. 프랑스 소르본 대학에서 온 스테판 테베네(Stephane Thevenet)는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많이 나타나는 해외 또는 외국이라는 공간의 사회적 의미를 분석했다.



오전의 두 번째 패널은 언어, 번역, 교육에 관한 것이었다. SOAS의 루시안 브라운(Lucien Brown)은 한국어를 배우는 다양한 외국인 그룹의 경어체 사용을 비교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어서 연세대학의 마리아 오세드로바(Maria Osetrova)는 박정희 정권 시절을 중심으로 한 교육정책과 발전을 논하였고, 모스크바 국립 언어대학에서 온 포콜코바 예카테리나(Pokholkova Ekaterina)는 남한 신문에서 사용된 메타포(비유법)에 대해 연구 조사한 내용을 발표하였다. 오전 세션은 고려대학에서 참석한 기욤 장메르(Guillaume Jeanmaire)의 발표로 마무리지어졌는데, 그는 한국어의 문화적 고유명사 등이 프랑스어로 번역되는 데 있어 발생하는 언어학적인 문제를 다루었다.
점심식사가 끝나고 바로 시작된 오후 세션은 근·현대사에 초점이 맞춰졌다. 라이덴 대학의 치에 아리타(Chie Arita)는 패전 후 미군정 시기 일본 사회에서 대두된 한국인의 국적 문제를 시사했고, 이어서 SOAS의 힐러리 이자트(Hilary Izatt)는 식민지 말기 황민화(kominka) 정책을 문화적 학살로 볼 수 있을지에 관한 문제를 제시했다. 라이덴 대학에서 온 박경희의 세 번째 발표는 ‘빵과 밥’이라는 학교 급식 내용의 변화가 어떻게 정부의 경제 해결책과 맞물리는지에 대한 연구였다.
그날의 마지막 패널은 한국 문학에 관련된 것이었다. 성균관대학의 제롬 드 비트(Jerome de Wit)는 그동안 단순한 이데올로기 문학으로 치부된 한국 전쟁문학에서 다각적이고 모순적인 메시지 읽기를 시도했다. 라이덴 대학의 이정심은 한용운의 1930년대 불교 에세이를 통해 기존의 시각을 뒤집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그의 시각과 이해를 파고들었다. 고려대학의 니콜라 프라치니(Nicola Fraschini)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한국 문학 작품이 어떻게 쓰여왔는지를 발표하였다. 두 번째 날에는 최근 박사과정을 끝낸 SOAS의 오언 밀러(Owen Miller)를 선배로서 특별 게스트로 초대해 사회주의 역사학자인 전석담에 대한 그의 최근 연구와 방법론에 대한 특강을 들었다.
마지막 날 오전 세션은 종교에 관한 것이었다. 프랑스 사회과학 고등연구원(EHESS)의 김희연은 유럽 순복음교회의 특성과 다양성을 비교・연구하였고, 빈 대학의 루카스 포코르니(Lukas Pokorny)는 이율곡의 ‘사생귀신책(死生鬼神策)’을 통해 유학자의 삶, 죽음, 내세를 살펴보았다. 올해 학술회의의 마지막을 장식한 것은 에든버러에서 온 박준환의 발표로, 한국 샤머니즘 속의 ‘대감’이란 인물을 통해 종교와 경제의 관련성에 대해 다루었다.
올해의 학술회의는 여느 때와 달리 종합 토론 시간이 마련되었다. 먼저, 한국국제교류재단의 민영준 베를린 사무소장의 소감과 인상에 대한 발표가 있었고, KSGSC 위원 임명과 선출에 관한 토의가 있었다. 다음 개최지는 모스크바 국립대학으로 결정되었으며, 학회의 지속성을 위해 AKSE 홈페이지에 KSGSC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문제 등이 논의되었다. 그외에 회의의 공식 언어에 한국어도 포함시키자는 의견이 제기되었으나, 다수의 의견으로 영어만이 채택되었다. 이번 학술회의는 위원회의 엄격한 초록 심사 등으로 논문과 발표의 수준과 질이 다른 때보다 높았다는 평이 많았다. 각 패널의 토론자로 적극 협조한 교수, 강사, 전문가들의 비평력 있는 피드백에 힘입어 이례적일 정도로 많은 질문 공세와 토론이 이어졌다. 동시 패널 등을 만드는 것으로 토론 시간을 늘렸으면 한다는 희망 사항도 많은 호응을 얻었다. 빡빡한 일정 대신보다 여유 있는 프로그램이 좋겠다는 제안도 나왔다. 점심식사를 마치는 것으로 제5차 유럽 한국학 대학원생 학술회의는 폐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