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과 러시아 그 소리의 만남 & 인도 현대무용단 공연

한국과 러시아 그 소리의 만남 & 인도 현대무용단 공연



삶과 닮아서 더욱 가슴을 울리는 러시아 음악

한국과 러시아 그 소리의 만남 ‘러시아 음악, 그 사랑의 선율’

닥터 지바고에서 흘러나오던 만돌린의 방랑하듯 슬픈 멜로디, 모래시계 테마로 우리 마음을 울리던 남성의 굵은 목소리. 한국사람들에게 러시아의 음악은 잦은 조우는 없었지만 언제나 들으면 울림이 큰 음악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런 점에서 한국국제교류재단에서 마련한 오픈 스테이지 4번째 무대인 ‘한국과 러시아 그 소리의 만남’은 낯설면서도 반가운 무대였다.
특히 이번 ‘한국과 러시아 그 소리의 만남’ 무대는 한국국제교류재단이 새 보금자리에 안착해 열린 첫 공연이었던 만큼, 기대가 컸다. 국제교류재단 문화센터 윤금진 센터장은 환영의 말을 전하며 “오늘 이곳에 대한 장소문의가 많았다. 이제 장소를 아신 만큼 다음부터 자주 찾아와달라.”는 인사로 공연을 시작하였다.
이날의 첫 무대에 오른 성악가 이연성 씨는 ‘어머니 강 볼가’와 ‘마부여, 말을 재촉하지 말아요.”로 러시아 음악세계의 문을 활짝 열었다. 그리고 두 곡의 노래로 러시아 음악에 대한 낯설음이 어느덧 사라질 때 즈음, 러시아의 국민가수 알라 뿌가쵸바가 부른 (우리에게는 가수 심수봉의 노래로 더 잘 알려진) ‘백만송이 장미’가 연주곡으로 흘러나왔고, 관객 석에서는 기다렸다는 듯 환호가 흘러나왔다. 특히 이 노래는 러시아의 전통 악기로 바얀(아코디언 처럼 생긴)과 바라라이카(만돌린을 확대해 놓은 듯한 악기)로 반주되어 가장 ‘러시아다운 음악’으로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이미 우리의 귀와 마음에 친숙한 러시아의 음악이미 우리의 귀와 마음에 친숙한 러시아의 음악
이날 ‘러시아 음악, 그 사랑의 선율’ 콘서트는 연주곡과 노래, 민요와 가곡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아무래도 그 중 가장 큰 박수소리를 받은 것은 한국 대중에게 친숙한 음악들이 대부분이었다. 모 드라마에서 출연자가 첼로로 연주하여 큰 인기를 끌었던 ‘리베르 탱고’나 영국의 여가수 메리 홉킨이 번안하여 ‘Those were the Days”로 불었던 “By the long Road”, 또 모 게임프로그램에 백 뮤직으로 깔렸던 “까쮸샤” 등이 연주되면서 관객들은 손뼉으로 박자를 맞추고, 허밍으로 노래를 따라 부르며 러시아의 음악을 만끽했다. 특히 이연성 씨는 재즈모음곡 2번 중 왈츠를 노래하면서 직접 관객 중 한 명과 왈츠를 추는 퍼포먼스를 선보여 웃음과 더불어 큰 박수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이날 콘서트 무대를 맡아준 ‘나르따’ 는 모스크바 유학파 음악가들로 구성되어 러시아 음악의 전파에 힘쓰고 있는 팀으로, 그들이 러시아를 사랑하는 마음을 그대로 한국 관객들에게 전해줄 수 있어 더욱 의미있는 공연이었다. 이렇게 러시아 음악에 푹 빠져 함께 즐기는 동안, 어느덧 이연성 씨의 앵콜곡 모래시계의 테마곡이 시작되고, 그 노래를 끝으로 세계 그 어떤 나라의 음악보다 삶의 깊이가 느껴지는 러시아 음악과의 만남도 막을 내렸다. 러시아 음악의 모든 것을 감상하기에는 비록 짧은 시간이었지만 러시아 음악의 매력과 친근함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던 ‘러시아 음악, 그 사랑의 선율’ 무대는 한국의 여름밤 러시아의 설원을 떠올릴 수 있을 정도의 감동으로 진하게 다가왔다.

여름밤에 만나는 인도 무용의 아름다움

말리카 사라비이와 다르빠나 현대무용단 초청공연 “India-Then, now and forever”

여름밤에 만나는 인도 무용의 아름다움 지난 8월 3일, 아직도 긴 장마의 끝자락으로 아침부터 비가 오락가락 하던 저녁. 충정로 가야극장에서 세계적인 인도 현대무용가 말리 카 사라바이와 그녀의 무용단인 다르빠나 현대 무용단의 초청공연이 화려하게 펼쳐졌다. 우리나라와 인도 양국이 정한 ‘2011 한-인도 문화교류의 해’를 기념하여 계획된 여러 행사 중의 하나로 개최된 이번 공연은 한국국제교류재단(KF)과 인도문화협회(ICCR)간의 상호 협력의 결실이라 더욱 의미가 깊었다. 양 기관은 한국과 인도 양국의 대표적인 문화외교, 공공외교 수행기관으로서 2006년 KF 문화센터에서 개최한 인도불교미술전 등 과거 수년간의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지난해 문화교류 분야에서의 협력을 위한 MOU를 맺었다. 그리고 이런 MOU의 첫 결실로서 이날 공연이 이루어지게 되었고, 오는 11월 초 인도에서는 ‘손경순 무용단’이 한국과 인도 양국 국민들에게 자국의 무용예술을 소개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 것이다.

신앙과 철학사상까지 아우르는 인도 공연 예술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공연 시간이 임박하자 세계적인 인도 무용가와 무용단의 공연을 보러 온 재한인도인들과 많은 한국 관객들로 가야극장은 가득 찼다. 이 날 공연의 주제는 ‘India-Then, now and forever’ . 유구한 인도 문화예술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신앙과 철학사상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는 인도 공연 예술의 특징을 표현하는 공연이었다.
공연이 시작되자 무대 스크린에는 “베다 문화보다 더 오래 전 인도에 사람들이 살고 있었고, 그들의 춤과 노래가 온 세상에 퍼져나갔다. 흔히 토착민이라 불리는 이들 사회는 그들만의 소리를 발견했고, 그 소리는 지구 상의 많은 곳에 울려 퍼졌다.”는 이야기가 떠오르면서 토착민 부족인 라트와 부족의 모습을 한 무용단의 춤이 시작되었다. 라트와 부족의 동작들은 인도인들이 인류의 첫 걸음과 함께 창조되었다고 믿는 만큼 원시의 힘이 느껴지는 군무였으며, 단순했지만 예술에 대한 그들의 깊은 통찰을 어렴풋하게나마 느낄 수 있었다.

신앙과 철학사상까지 아우르는 인도 공연 예술

이어 문명에서 중요한 순간이 불의 발견을 찬미하는 나바산디(바라타나티암에 나오는 고전무용)가 소개되었다. 암흑을 밝히는 자에게 경의를 표하는 춤인 나바산디가 끝나자, 곧 시바가 인도 전통무용 바라타나티암에서 주요한 신이 되면서, 가장 위대한 서사시로 여겨지는 마하바라타의 놀라운 이야기들이 무용가들의 표정과 손동작, 몸짓으로 표현되었다. 이렇게 공연은 군무에서 독무, 듀엣무대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었고, 부족의 전통민속무용에서 추상적인 현대무용까지 시공간을 넘나드는 무대가 연출되었다.

신앙과 철학사상까지 아우르는 인도 공연 예술 무엇보다 영원한 신과 그 신을 숭배하는 인간의 예술을 표현하는 무용단의 몸짓은 기교 보다는 눈빛, 몸의 동작 하나에 의미를 담아 관객들의 눈을 사로잡았다. 마지막 순서에 까운(누구)라는 제목의 공연에서는 모두 두 개의 가면을 들고 또 자신의 얼굴을 가면으로 가린 무용가들이 “자유란, 삶이란, 진실이란” 질문에 답을 찾는 춤을 춤으로서 그들 하나하나의 몸짓에 관객들까지 철학적인 질문에 빠져들도록 이끌었다. 특히 눈부신 춤의 여전사라 불리우는 말리카 사라바이의 춤은 단순한 예술전파가 아닌 끊임없는 그녀의 신념을 나타내는 하나의 방법이자, 가장 아름다운 언어라는 것을 가슴으로 느낄 수 있었다. 1시간 30여 분에 걸친 과거와 현대, 현실과 미래를 아우르는 공연이 끝나자, ‘인도 문화’를 가장 보편적인 언어인 무용으로 접한 관객들의 호응은 무척 뜨거웠다.
그리고 인도 전통옷을 차려입은 인도인들과 한국 관객들이 어우러진 축하 리셉션에서는 새로 취임한 전남진 이사가 공연 축하와 더불어 “이번 공연을 위해 협조해주신 주한인도대사관 관계자들에 대해 감사드리며 이번 공연을 통해 한국과 인도가 더욱 가까워지고, 이런 상호 이해 증진을 바탕으로 두 나라의 관계 역시 더욱 가까운 친구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는 바람을 전하면서 건배 제의를 했다. 관객들도 아름다운 춤과 한국과 인도의 만남과 교류를 진심으로 축하하며 잔을 높이 들었다.

<미니 인물탐구>
말리카 사라바이: 눈부신 춤의 여전사라 불리우는 말리카 사라바이는 아름다우면서도 진실을 향해 탐구하는 몸짓으로 이날 공연에서 큰 박수를 받았다. 그녀는 세계적인 무용가라는 타이틀 뒤에, 영화배우이자 대형 무용단과 TV채널을 운영하는 CEO이기도 하면서 끊임없이 현실세계의 부당함에 마로가 행동으로 저항하는 인도 사회의 행동하는 예술가로 인정받고 있는 인물이다.

최경숙

SEARCH

통합검색닫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