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공공와교란

국가가 직접 또는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부문과 협력하여 문화, 지식, 정책 등을 통하여
대한민국에 대한 외국 국민들의 이해와 신뢰를 증진시키는 외교활동을 말합니다

  • 8484
  • 848380
    참가자
국내프로젝트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대한민국을 알리는 KF국민공공외교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참여소감

프로젝트 참가자의 소감과 조언, 지원 팁을 직접 들어볼게요!

2020 KF국민공공외교 놀플러스 (해외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새로운 방법으로 그들과의 소통을 시도해 볼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또 워크숍과 결과발표회도 아주 만족스럽습니다. 이번 포럼을 준비하며 ‘만났으면 더 좋았을텐데, 더 가까워질 수 있었을텐데’ 하는 마음도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또 다른 방식으로 만난다는 설렘과 즐거움이 더 컸던 것 같습니다!

2020 KF국민공공외교 서울사이 (국내팀)

‘글로벌한국학’ 전공 대학생들로서 이론을 공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각자 관심분야의 지식과 특기를 살려 공공외교를 실천하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었고 팀원들 전원이 처음 도전해본 온라인 행사였음에도, 팀원들 간의 신뢰와 협력 덕분에 ‘서울사이 프로젝트’가 기대이상의 관심과 참여를 얻었습니다. 새로운 환경을 맞닥뜨렸을 때 당황하지 않고 적응해나가는 임기응변을 배우고 한 층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온라인 사업으로 전환했기에 거리의 제약 없이 보다 다양한 국가의 외국인들과 소통이 가능한 장점도 있었습니다. 한국문화에 대한 많은 관심과 기대에 부흥하도록 5개의 맞춤형 투어를 만들었으며, 영상제작 및 발표를 통해 이를 생생하게 전달함에 보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2020 KF국민공공외교 B.f.A.Crew (해외팀)

KF국민공공외교 프로젝트를 통해 봉고래핀 경연대회를 온라인으로 진행할 수 있었던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입니다. 코로나로 언택트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현장에 직접 방문하여 현지 비보이들과 부대끼며 워크숍 및 경연대회를 진행하는 것이 목표였으나, 직접 대면이 어려운 상황이 되면서 기존에 진행되왔던 봉고래핀 경연대회도 방향성을 변경해야 하는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KF국민공공외교 프로젝트를 통해 처음으로 온라인 대회 운영을 해보았는데요, 많은 시행착오들이 있었지만 온라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대회가 참여자들에게 매우 의미있는 시간이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봉고래핀 경연대회를 지속적으로 운영 및 확대해나간다면 더 많은 아프리카 대륙 내 비보잉들이 영향을 받고 실력을 향상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2020 KF국민공공외교 Hangeuly (국내팀)

온라인이라는 매체로 효과적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사람들에게 한국에 대해 알릴 수 있는 좋은 프로젝트였습니다. 이메일과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사람들과 한국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소중한 시간이었고, 이를 통해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본 프로젝트로 인해 한국에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부분을 알 수 있었다고 소감을 전달 받았습니다. 지속 가능한 프로젝트임에도 불구하고 20회 정도의 단발성 프로젝트로 마무리된 것이 아쉬우나, 서로 협업하며 구독자들에게 서비스를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어 즐거웠고, 배운 점도 많았고, 프로젝트의 특성상 코로나-19 시대에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한국을 알릴 수 있었다는 점이 프로젝트의 가장 큰 의의가 있었습니다.

KF 국민공공외료 프로젝트 공모

2023 KF국민공공외교 프로젝트는
2023.3.3(금)~3.24(금)까지
KF 온라인 신청시스템에서 신청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