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인도의 한국학 발전과 현황

인도에서 한국학이 정기적인 차원에서 소개된 것은 1970년대 초 뉴델리 소재 자와할랄네루대학(Jawaharlal Nehru University)에 의해서였다. 그 이전에는 인도의 국제학 및 지역학 진흥을 위해 인도국제문제위원회(Indian Council of World Affairs) 후원 하에 1955년에 설립된 인도국제학대학(Indian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1)이 있었다. 동 대학은 학생 및 학자들에게 한국과 관련된 주제를 연구 주제로 삼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그러나 연구자료가 충분하지 않았고 한국어 학습 시설도 전무했기 때문에 이들이 한국어 공부와 현장연구를 위해 한국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교환장학제도의 형태로)에 의존해야 했다. 그 결과 지금까지는 극히 적은 수의 인도학자들만 한국의 언어, 문화, 정치사회 문제 등을 배울 수 있는 드문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중 일부는 인도에서 한국학 분야의 선구자로 성장했다.
자와할랄네루대학이 설립되면서 인도국제학대학은 1970년 6월 자와할랄네루대학에 통합되어 국제학대학(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으로 개명되었다. 이어 동 대학 내 여러 연구센터가 설립되면서 동아시아학을 포함하여 지역학의 지평은 확장되기에 이르렀다. 이 중 하나가 세부적인 한국학 과정을 가지고 있는 동아시아연구센터이다.
현재 동 센터의 M.A. 석사 과정에는 1945년 이후 한반도와 국제관계 강좌가 있으며, M.Phil 석사(주로 강의로 구성된 2년간의 M.A. 과정 이후 이어지는 과정으로, 대개 1년간 계속되며 최소한 50%는 연구활동으로 이루어지는 박사과정에 들어가기 전단계) 과정에는 1945년 이후 한반도의 정치경제발전, 1876년에서 1945년까지의 한국근대사, 1945년 이후 한반도와 국제관계, 한국어 강좌 등이 있다.

한국학 프로그램 운영대학
세계 여러 지역과 나라에 대한 지식을 전파함에 있어 국제학대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곳이 자와할랄네루대학교의 어문학 및 문화대학(School of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Studies)이다. 1969년에 설립된 동 대학은 동북아시아연구센터를 통해 한국의 언어, 문학, 문화 교육과 관련하여 가장 포괄적이고 세밀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 대학의 초창기 프로그램은 한국어 1년 디플로마 과정 밖에 없었다. 몇 년 후 1년간의 고급 디플로마 과정이 새로 추가되었으며, 1980년대에는 3년간의 한국어문학 학사과정 (B.A.)으로 확대되었다. 최근에는 5년짜리 한국어문학 및 문화 B.A., M.A. 과정으로 통합되기에 이르렀다. B.A. 과정으로 다음과 같은 강좌가 운영되고 있으며 (구두표현, 한글, 한글 텍스트, 한자, 한글·한자 혼용 쓰기, 기본 구조, 이해력과 작문, 회화력, 독해력, 텍스트와 문법, 응용문법, 번역과 작문, 통역, 특수용어, 한국문학의 주제, 한국의 지리와 문화, 현대한국: 사회·경제·정치 분야, 한국현대사, 한·인도 관계 등), M.A. 과정에는 한국학과 관련하여 비교 및 대조언어학, 통번역, 한국문학의 경향과 주제, 한자, 응용언어연구, 한국의 사회문화유산, 시사문제분석, 한국방언연구 등의 강좌가 운영되고 있다.
종합적인 한국학 교과 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또 다른 인도의 고등 교육 기관으로 델리대학 (University of Delhi)가 있다. 1922년에 설립된 델리대학은 인도에서 대단히 오래된 명문 대학 중 하나이지만 21세기가 시작되면서 비로소 한국학 과정을 운영하기 시작했다.2) 2001년에 델리대학의 동아시아학과 내에 한국학 부문이 생겼다. 현재 동아시아학과는 한국어 과정 수료증, 학위 전단계 디플로마, 고급 디플로마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 학과의 M.Phil 과정생 중 한국 전공자들을 위해서는 한국의 역사, 문화, 정치 관련 강좌 등이 있다. 한국을 주제로 선택하여 박사논문을 준비하는 동아시아학과 소속의 학생들도 있다. 동아시아학과는 가까운 장래에 한국학 분야의 석사 과정도 개설할 예정이다.

동아시아학 프로그램 운영대학
위에서 언급한 두 국립대학 외에 마드야 프라데쉬(인도 중부의 주)에 위치한 한 기관이 어느 정도 한국학과 연관을 맺고 있다. 그 기관은 바로 델리에서 남쪽으로 약 320킬로미터 떨어진 괄리오르 시에 위치한 지와지대학(Jiwaji University) 부속 마하라니룩스미바이 정부자치대학(Maharani Luxmi Bai Government Autonomous College)이다.
한국어강좌나 별도의 한국학과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동 대학은 인도 중부 지역에서 한국학/동아시아학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자와할랄네루대학 국제학대학 동아시아연구센터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 1987년 동 대학은 국제관계학과에 동북아시아학과 관련된 교과과정을 개설했으며, 학생들이 한국을 전공하도록 권장했다. 그들 중 일부는 일련의 특강과 세미나를 통해 한국문제에 대한 지식을 많이 쌓을 수 있었다.
국제관계학으로 M.A.학위(한국문제 전공)를 받은 뒤 소수의 학생들은 자와할랄네루대학, 델리대학의 한국학 M. Phil 과정에 진학했으며, 교환 장학생으로 뽑혀 서울대학교에서 수학하기도 했다. 마찬가지로 일부 학생들은 괄리오르의 지와지대학에서 한국학 분야로 박사과정 연구를 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도대학 장학위원회의 후원 하에 동 대학에 별도의 중앙아시아학과 및 동아시아학과를 세우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
이처럼 지난 30여 년의 시간 동안 인도의 한국학은 매우 높은 발전 단계까지 도달했다. 한국어 수료증 및 디플로마에서부터 한국어 전공 B.A.와 M.A.,3) 한국학 M. Phil 과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강좌가 학생과 학자들의 선택, 능력, 수단에 맞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의 교과목은 한국의 언어, 문학, 문화, 역사, 경제, 정치 등 거의 모든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한국에 대한 주제로 더 깊은 공부와 연구를 하고자 하는 이들은 인도 내 여러 대학의 박사과정을 택할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인도 내에서 제대로 갖춰진 한국학 박사 과정은 대부분 수도 델리에 집중되어 있다. 그 결과 극소수의 인도 학생들과 학자들만이 한국학에 전념할 기회를 갖게 된다. 어떤 학자들은 한국관련 문제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너무 멀리 떨어진 곳에 있기 때문에 델리까지의 비싼 여행경비를 충당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학 기관을 인도 내에서 수평적으로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인도 내 한국학 증진의 또 다른 장애물은 이 분야에 대한 인도 지식인들의 폭넓은 관심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사실 인도와 한국의 보통 사람들은 아시아의 오래된 두 문명 간에 역사적, 문화적, 철학적 연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더욱 역설적인 상황이 벌어지고 있기도 하다. 요즈음 몇몇 한국 기업과 그 제품이 인도에서 대단한 인기를 얻게 되었지만 이 나라 일반 대중들에게 그러한 기업과 제품 뒤의 사람들은 여전히 낯설기만 하다. 일반 대중 차원에서 양국간 문학, 문화, 예술 교류를 광범위하게 펼쳐서 대다수 인도 지식인들 사이에 한국학에 대한 관심을 불어넣어주고 증진시키는 일이 절실하다.

인도와 한국의 보통 사람들은 아시아의 오래된 두 문명 간에 역사적, 문화적, 철학적 연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더욱 역설적인 상황이 벌어지고 있기도 하다. 요즈음 몇몇 한국 기업과 그 제품이 인도에서 대단한 인기를 얻게 되었지만 이 나라 일반 대중들에게 그러한 기업과 제품 뒤의 사람들은 여전히 낯설기만 하다. 일반 대중 차원에서 양국간 문학, 문화, 예술 교류를 광범위하게 펼쳐서 대다수 인도 지식인들 사이에 한국학에 대한 관심을 불어넣어주고 증진시키는 일이 절실하다.

1) 인도가 독립하자마자 이런 유형의 기관에 대한 필요성이 처음으로 대두되었다. 당시 인도에서 외교문제 분야의 유일한 기관이었던 인도국제문제위원회는 효과적인 국제학 연구증진을 위해 젊은이들이 경제, 사회, 정치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전개되는 양상을 분석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로 인해 자와할랄네루대학은 물론 인도국제학대학이 설립되게 되었는데, 한국외국어대학과 다소 비슷한 성격을 띠고 있다.
2) 이와 같은 아이러니컬한 상황이 발생한 이유는 인도국제학대학이 1961년부터 1970년까지는 델리대학에 속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69년에 자와할랄네루대학이 설립되면서 국제학 및 지역학 발전의 원동력은 전자에서 후자로 옮겨갔다.
3) 영국식 학제가 널리 보급되어 있는 인도에서 학사(B.A.)는 학부, 석사(M.A.)는 대학원 과정으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인도에서 졸업(graduation)이라 함은 학사 학위를 받는 것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