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러시아 예술 축제의 한마당을 화려하게 수놓은 우리 창작공연

공연창작집단 ‘뛰다’가 한국국제교류재단의 지원을 받아 2009년 4월 25일부터 30일까지 러시아 노브고로드에서 개최한 국제연극 킹페스티벌(International Theater Kingfestival)에 참여해 <하륵 이야기>를 공연했다. <하륵 이야기>는 축제 역사상 처음으로 최우수 작품상과 올해의 작품상을 동시에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노브고로드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약 200km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러시아 연방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유서 깊고 아름다운 도시다. 킹 페스티벌은 이도시에서 1992년부터 활동해온 노브고로드 아동 청소년 극단 ‘말리’가 2년에 한 번씩 주최하는 국제 공연 예술 축제로 올해로 10회째를 맞이했다.
이 축제에는, 관객층으로는 아동 청소년을 위한 공연부터 어른을 위한 공연까지, 장르상으로는 실험적인 현대무용에서 전통적인 광대극까지, 지리적으로는 북유럽에서부터 극동까지 다양한 종류의 공연이 한자리에모인다. 주최 측인 극단 ‘말리’의 관심사가 움직임에 큰 비중을 두다 보니 축제의 성격도 자연스레 무용에까지 폭을 넓히게 된 것으로 보인다.



지역 문화 예술을 이끄는 작은 극단의 열정
노브고로드에 도착해서 공연을 올리기까지 주로 조명이나 무대 쪽의 현격하게 다른 시스템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이 있었다. 처음에는 서로의 요구나 작업 진행 방식에 적응하기 어려워 난항을 겪기도 했지만, 얼마지나지 않아 서로의 방식에 적응하고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의 공연을 만들기 위해 의기투합할 수 있었다.
사실 어느 나라에 가든, 또는 국내에서 공연을 하더라도 겪을 수밖에 없는 문제기는 하지만, 말리 극장의 시스템은 요즈음 세계적으로 많이 표준화된 그것과는 차이가 컸다. 그리고 사전에 이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다는 점이 초반 작업을 어렵게 했다. 그러나 이들은 작품에 대한 배려를 아끼지 않았고 이것이 어려움 속에서 서로를 소통하게 해준 중요한 요인이었다. 일례로, 기술 스태프가 우리 공연의 DVD를 사전에 보고 나서 극장 크기가 작품에 비해 지나치게 크다며 무대 위에 객석을 설치해두는 등 초청한 작품에 최선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애쓰는 모습이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이번 축제 기간에 내게 가장 커다란 인상을 남긴 것은 바로 축제를 진행하는 극단 측의 열정적인 모습이었다. 극단 ‘말리’는 14명의 배우로 구성된 그리 크지 않은 규모의 극단인데, 이들은 축제 기간에 통역, 공연 진행, 기술 감독, 초청 팀 관리, 심지어 공연 전 이벤트까지 다양한 역할을 하는 동시에 극단의 작품에도 출연하면서 축제를 이끌고 있었다. 이들은 평소에도 노브고로드 문화 예술계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듯했다. 장차 극단을 둘러싼 지역과 좀 더 적극적인 관계 맺음을 시도 해보겠다는 꿈을 가지고 있는 ‘뛰다’에게, 한 지역에서 이토록 성공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자리매김한 극단의 활동상을 지켜보는 것은 무엇보다도 좋은 자극이 되었다. 축제는 언제나 이런 식으로 예상치 못한 선물을 하나씩 안겨주는 것 같다.

모두에게 감동을 안겨준 <하륵 이야기>
축제의 개막작으로 선정된 <하륵 이야기>는 관람객들로부터 열광적인 반응을 받으며 막을 내렸다. 오전 공연을 본 아이들이 한 번 더 보고 싶다며 관계자에게 부탁해 두 번을 관람하기도 했고, 다른 공연팀과 심사단으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러한 호응에 커다란 몫을 한 것이 한국문학번역원에서 지원해준 자막 번역이었다. 수준 높은 자막은 공연의 질을 크게 높여준다는 것을 그 간의 해외 공연을 통해 절실히 느껴왔는데, 이번에도 마찬가지였다. 한국문학번역원의 자막은 언제나 공연에 큰 힘이 된다. 공연이 끝난 뒤에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러시아 주재 한국 영사관 부영사님께서 분장실을 찾아주셨는데, 눈물을 글썽이시면서 감동적인 작품이었다고,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도 꼭 공연을 해달라고 부탁하셨다. 자국 공관의 이런 관심은 해외 공연을 할 때 큰 힘이 된다. 국가 대 국가의 교류란 결국 개인 간의 만남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축제에 참여한 공연 예술 단체가 다른 해외 단체와 맺는 관계는 거시적인 차원에서 국가 간의 관계에 대단히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점을 정확히 인식하고 넓은 안목으로 현지에서 작업 진행에 도움을 주려고 노력하는 우리나라 공무원들의 모습을 더 많이 보고 싶다.
킹페스티벌에 참여한 모든 단체들은 같은 호텔에 묵으면서, 같은 장소에서 매끼 식사를 함께하고, 같은 버스를 타고 공연장으로 이동했기 때문에 자연스레 참가 단체 간의 친분이 두터워졌다. 동유럽권의 축제에 두 번 정도 참여했는데, 겉으로 크게 드러나지는 않으면서도 참여자들 간에 교류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 같았다. 작업자들끼리 서로의 관심사를 나누고, 다른 작업자의 상황을 좀 더 이해할 수 있도록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축제 측이 제공해준 것이다. 거창한 타이틀을 건 형식적인 행사보다 작지만 실제적인 환경 조성이 서로를 알아가게 만든다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공연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온 지 이틀째 되던 날 밤, 축제의 총감독인 타티아나로부터 반가운 메일을 받았다. <하륵 이야기>가 국제 심사단이 뽑는 최우수 작품상과 젊은 비평가들이 뽑은 올해의 작품상을 동시에 받았으며, 이는 축제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라는 것이었다. 한시라도 빨리 기쁜 소식을 전해주고픈 마음에 한국은 한밤중인 줄 알면서도 수상이 결정되자마자 바로 연락을 했다고 한다. 메일을 읽고 나니 러시아를 떠나던 날 환한 미소로 우리를 배웅하던 그들의 모습이 어른거린다. 처음엔 무뚝뚝해 보이지만 알고 나면 세계 어느 민족보다도 따뜻한 가슴을 지니고 있는 러시아인. 이번 축제를 통해 알게 된 그네들의 따뜻함과 열정은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