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활동 게시판 > 상세화면

[도서관] 미국 하버드대 하버드-옌칭도서관 이지은 4개월차

  • 등록일 2017.06.12


KF 글로벌 챌린저 월간 활동보고서



상세 활동 보고
작성자 이지은
인턴십 분류 도서관 인턴쉽
파견기관 Harvard-Yenching Library
파견기간 2017년 2월~ 2017년 11월 (총 10개월)
보고서 해당기간 4개월차
내용
이번 달엔 한국 역대 문집 총서 시리즈가 400권정도 들어와서 열심히 목록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서명이 같고 v. 넘버만 달라지는 총서의 경우, 목록 레코드를 하나만 만들고 각 v.마다 duplicate를 해서 item을 추가하는 간단한 작업이지만, 만약 각 총서마다 서명이 다른 경우에는 훨씬 복잡해집니다. 각 v. 책들의 레코드를 각각 따로 만들어 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하나의 레코드를 만든 후, 그 레코드를 derive하여 서명과 저작을 바꾸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 책에 두 개의 저작이 들어간 경우라던가, 한 저작이 두 권짜리인데 두 번째 v.에서 다른 저작과 합쳐진 경우에는 또 다른 방식으로 목록을 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생각만큼 단순하지만은 않은 작업이었습니다. 또한 조선시대의 문집이다 보니까, 저자의 호가 다양하고, 한자명도 여러 개가 있어서 일일이 접근점을 만들어 주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밖에 없었습니다.
또 새로 배운 일은 Authority file을 만드는 작업을 한 것입니다. 한국의 Authority file은 그 개수가 무척 적기 때문에, 하버드에서는 목록을 함과 동시에 종종 Authority file을 만드는 작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4월달 주요 활동]

1. 한국 역대 문집 총서 시리즈 목록 레코드 만들기


그림1 문집 시리즈 / 그림2 이어져있는 2volume

<그림 1>이 들어온 문집 시리즈들입니다. 그리고 <그림 2>가 한 서명이 두 번째 volume에서 다른 서명과 합쳐진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그림 3>, <그림 4>처럼 레코드를 두 개로 나누어서 목록을 해주었습니다.


그림3 첫 번째 volume / 그림4 두 번째 volume

2. Authority file 만들기
목록 레코드를 만들어 줄 때, 저자나 발행처를 Authority file로 링크 시켜주는데, 이는 동명이인을 구분하고 정확한 정보로의 접근점을 주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한국의 많은 저자나 발행처가 Authority file로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번에 “아침고요시선”이라는 시집 시리즈의 Original record를 만들다가 정확한 Authority file이 너무 없어서 직접 만들어주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NACO(Name Authority Cooperative Program)의 참가자라면 어떠한 그룹이든, Authority file을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하버드대학교도 그 중 하나입니다. Authority file을 만들기 위해서 먼저 OCLC에 동일인물의 authority file 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동명이인도 많기 때문에 작품이나 생몰년을 통해 정확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없다면, OCLC의 Marc를 사용하여 Authority file을 만든 후,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내용을 책에서 찾아서 증거로 제출해야 합니다. 그래서 책의 표제지나 타이틀페이지, 서문 중에서 알맞은 정보를 찾아서 스캔하여 저장하는 작업도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Authority file record는 비슷해 보이지만 일반 cataloging record의 기입 방식과는 다르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그림5>가 생성중인 authority file 입니다.


그림5 생성중인 authority 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