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활동 게시판 > 상세화면

[한국어교육] 베트남 하노이대학교 박혜진 5개월차

  • 등록일 2018.03.12


KF 글로벌 챌린저 월간 활동보고서



상세 활동 보고
작성자 박혜진
인턴십 분류 한국어교육 인턴십
파견기관 베트남 하노이대학
파견기간 2017년 9월 10일~ 2018년 7월 31일 (총 9개월 21일)
보고서 해당기간 5개월차
내용
1. 한국어 수업 일정 변경
베트남의 경우 겨울 방학이 없기 때문에 1학기가 끝나고 바로 2학기가 시작되었습니다. 1학기에 1학년 학생들은 베트남인을 위한 종합한국어 1,2권을 마쳤고 1,2권을 배우는 동안 두 번의 중간고사와 두 번의 기말고사를 치렀습니다. 한국학과 2학기가 시작되면서 1학년은 베트남인을 위한 종합한국어 3권으로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약 4 개월만에 초급과정을 마치고 중급과정이 시작되자 1학년 학생들 사이에서 학습할 것이 너무 많아서 힘들다는 의견이 있었고 이에 수업 일정이 다소 변동되었습니다. 기존에 주 5일, 20시간씩 학습하던 것을 조정하여 주 4일로 변경하기로 하였습니다. 1학년 학생들은 매주 수요일마다 종합한국어 수업을 듣지 않게 되었고 따라서 저의 수업 일정도 2월부터 변경되었습니다. 하지만 요일만 조정되었을 뿐, 수업 시수는 주당 12시간으로 동일합니다. 말하기, 읽기, 문법, 쓰기 기능 수업을 배정받았고 2월에는 2주간의 설 방학이 있을 예정인데 설 연휴 직전까지의 수업 일정만 받았기 때문에 앞으로 어떤 언어 기능 수업을 더 하게 될 지는 아직 알 수 없는 상태입니다.

2. 한국어 수업
베트남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 3권이 되면서부터 각 언어 기능의 연습 내용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각 언어 기능을 더 많이 연습할 수 있도록 보조자료를 제작하여 활용하는 방향으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문법의 경우 교재에 문법의 의미만 소개되어있을 뿐 문법의 제약이나 통사적 구조 등에 대한 정보는 없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보다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두고 수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말하기 수업은 학생의 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개별 발표보다는 그룹 발표나, 학생 전체 대 교사의 문답 형식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어 발음지도 등에는 한계가 있는 편입니다.

3. 한국학과 학술 세미나 참석
학과 내의 주요 안건과 소속 선생님들의 연구물에 대한 발표를 하는 학술세미나가 개최되었습니다. 현재 학과 내 새로운 교육과정 도입의 효과에 관한 논 문 발표와 각 언어 기능의 교육과 관련된 연구 결과 발표를 들었습니다. 이를 통해서 학과에서 주요하게 다루고 있는 교육 현안을 파악할 수 있었고 선생님들이 어떤 분야와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었습니다.


그림 1 한국학과 학술 세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