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1. Collection Development
이전 달과 같이 새로운 장서 입수를 위한 복본 조사, 기증&교환 도서 확인 등을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캠퍼스 내 타 도서관에서 옮겨온 오래된 도서의 보존/폐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해당 도서의 레코드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청구 기호를 가지고 있거나, 서명이 한문인 경우가 많아 하와이대학교 도서관 검색시스템인 Voyager에서 바로 검색이 어려워 바코드리더를 이용해 도서의 레코드를 읽는 방법으로 확인, 정리하고 있습니다. 장서의 개발/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지금껏 쉽게 접하지 못했던 북한 자료, 1950년대 이전의 오래된 자료들을 다룰 수 있는 것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2. Reference Service (15회)
3월에 3번의 트레이닝을 마치고, 4월부터 Reference Desk Shift를 받아 업무를 시작하였습니다. 1회에 2시간씩, 이번 달에는 15회 근무하였습니다. 질문의 대부분은 아시아 관련 도서의 위치를 묻는 질문입니다. 제가 근무하는 해밀턴도서관의 Asia collection은 한국관련 도서라도 한글로 작성되어 있다면 EAST로 시작하는 콜넘버를, 영어로 작성되어 있다면 ASIA로 시작하는 콜넘버를 가지고 있고 서가의 위치도 다르기 때문에 이용자들이 아시아 관련 자료 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을 느끼곤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위치를 묻는 질문을 가장 많이 받고 있고, reference desk에서 이용자들에게 받는 질문은 아래의 캡쳐 화면과 같이 언제, 누구에게, 어디 부서에서, 어떠한 질문을 받았는지 작성하여 타 부서의 사서들이 이용자들의 질문과 요구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3. Korea Collection LibGuide Update
매달 업데이트 하는 Monthly Acquisitions List를 Korea collection LibGuide에 업로드하였습니다. 또한, 새롭게 입수된 JEJU collection도 업데이트하였습니다.
4. Asia Collection Meeting
Asia Collection Meeting에 참석하여 Asia department 뿐만 아니라, 도서관 운영 전반에 대한 이슈들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도서관 내 음식 반입에 대해 의견을 나눌 때에는 한국 도서관들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알려드리고 저의 의견도 나눌 수 있었습니다.
5. Project
감사하게도 하와이의 한인이민사에 관한 귀한 자료를 기증받아 이 자료를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자료와 관련된 정보 및 자료 처리 방법에 대해 검색, 정리하고 있습니다.
6. Treasures at UH Hamilton Library
Asia Collection은 해밀턴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좋은 자료들을 매번 새롭게 선정되는 주제에 맞춰 소개하는 < Treasures at UH Hamilton Library >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Okinawa Collection에서 라는 주제로 콜로퀴엄을 진행하였습니다.
7. Plan
다음 달부터는 하와이대학교 마노아캠퍼스 내 한국학센터에서 기록물 관리 업무도 시작할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