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활동 게시판 > 상세화면

[한국어교육]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국립대학교 이정식 9개월차

  • 등록일 2018.12.06


KF 글로벌 챌린저 월간 활동보고서



상세 활동 보고
작성자 이정식
인턴십 분류 한국어교육 인턴십
파견기관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국립대학교
파견기간 2018년 2월~ 2018년 12월 (총 10개월)
보고서 해당기간 9개월차
내용
1. 학생지도에 대한 고민
저뿐만 아니라 수업을 하시는 모든 선생님은 '학생지도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고민을 할 것입니다. 더군다나 해외의 경우 선생님의 과도한 개입이나 문화를 이해하지 못한 지도는 자칫 강요와 프라이버시 침해로 비춰질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고민입니다. 특히 저는 원어민이고 한 국가의 이미지를 결정지을 수 있는 대표성을 본의 아니게 띄고 있기 때문에 더욱 조심스럽습니다. 지각과 결석을 자주 하는 학생, 자신감이 없는 학생, 반항적인 학생 등 정말 정형화할 수 없는 수많은 유형의 학생들이 있는데 이에 대해 교수자는 학습자를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 늘 고민입니다. 특히 러시아의 경우 시간에 대해 다소 관대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학풍으로 이어져 수업 전체에 영향을 끼쳤을 때 교수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고민을 하게 됩니다. 물론 모든 학생에게 지도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한 학생 한 학생에게 이 시기가 중요하다는 생각으로 포기하지 않고 저의 역할을 찾으려 합니다. 뿐만 아니라 러시아라는 지역적 특성에 대해 깊게 고민해 보려 합니다.

2. 한국어기초사전의 필요성
사전은 학생들이 언어를 학습하는데 정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물론 모든 단어를 사전으로 이해하고자 함에는 무리가 있지만, 사전을 통하여 학습효과가 크게 좌우되기도 합니다. 학생들은 쉽게 접할 수 있는 포털사이트 사전을 통하여 자신이 알지 못하는 한국어 어휘를 이해합니다. 하지만 학생이 노-한사전 검색할 경우 문제가 생깁니다. 사전은 집필 목적에 따라 수록된 어휘와 도출되는 정보가 다릅니다. 문제는 포털사이트의 노-한사전이 여러 출처의 사전을 한꺼번에 찾아주기는 하지만 사용빈도를 외국인 학습자가 판단하기는 어려워서 사용빈도가 다소 낮은 단어를 선택하였을 경우 한국인 모국어 화자가 쉽게 이해할 수 없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에 본교 학습자들도 포털 사이트의 노-한사전에 대한 만족도가 높지는 않습니다. 수록되지 않은 단어는 글로벌 오픈 사전에서 찾을 수 있는 경우가 있으나 검증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문제는 특히 쓰기 학습자에게 큰 문제가 됩니다. 이는 용례에 맞춰서 글을 적었지만 쉽게 이해할 수 없는 글이거나 하나의 글에서 글의 난이도 편차가 문장별로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 등의 경우입니다. 이에 대한 고민으로 저는 한국어기초사전을 학생에게 추천하였고 사전만 바꿨음에도 쓰기 능력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한국어 교육은 개개인의 노력과 더불어 여러 기관과 전문가들이 함께 노력할 때에 보다 발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3. 카자흐 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 한국학 20주년
저는 카자흐 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 한국학 20주년 행사와 동시에 진행되는 제4회 CIS 대학생 및 대학원생 한국학학술대회와 제9회 중앙아시아 한국학올림피아드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인솔하고 알마티에 다녀왔습니다. 이곳에는 러시아를 비롯하여 카자흐스탄, 키르기즈스탄, 우즈베키스탄, 한국 등 많은 국가에서 한국국제교류재단 문성기 모스크바사무소장님을 비롯하여 많은 기관과 대학에서 참여하였습니다. 학생들이 학술적으로 접근한 한국학은 참신하고 지속적으로 연구가 필요한 주제들이었습니다. 또한, 제시된 주제에 대한 질문과 피드백 또한 상당히 풍성했습니다. 또한, 각국에서 모인 한국어 선생님들은 한국어 교재, 교수법, 최신 동향 등에 대한 토론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한국학올림피아드에서는 본교 재학생이 장려상을 수상하기도 하였습니다. 한국학이 폭발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봄과 동시에 앞으로 한국학의 미래를 볼 수 있어 기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