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프로젝트]
1. Tibetan cataloging project 2019
4월부터 Tibetan cataloging project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Tibetan 자료들 대부분은 OCLC에 record가 없기 때문에 copy cataloging을 할 수가 없어 그 동안 방치되고 있었는데 드디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어 즐겁게 참여하고 있습니다. 먼저 사전 준비작업으로 책에 바코드를 붙이거나 기본적인 서지사항(페이지 수, 책 크기)등을 체크하고 책의 타이틀 페이지와 콜로폰이 적힌 면을 스캔하여 엑셀파일에 Link를 걸어주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구글 드라이브를 이용해 엑셀 spreadsheet에 정보를 추가해주는 작업이 후에 카탈로깅을 할 때 꼭 필요한 작업이므로 실수 없이 잘해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2. Tasks for Korean Picture place names
독일인이 쓴 한국 전쟁 관련 사진집의 캡션에 800 여건의 지명이 독일어 등으로 되어 있고 Subject heading이 없어 651 field를 부여하기 위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주제 부여를 해주어야 이용자가 온라인에서 쉽게 확인하고 자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독일어 등 다른 언어로 된 한국 관련 place name을 보고 이를 NAF(authority file) 또는 Wiki에서 정보를 찾아 English version으로 로마니제이션을 해주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업무내용]
Harvard 625 건물에서 다양한 언어의 책(Burmese, Thai, Tibetan, Pauli, Indonesian, Spanish, German 등)들을 cataloging(목록)하고 있습니다. 특별히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증 도서(Donation materials)의 경우, Leader field의 008/07 ‘g’ for gift 수정
-Record에 650이 없는 경우, 영어 버전의 책을 찾아 copy and replace it
-Bib record가 050 0일 때 Holding 852 field year에 x를 붙이지 않지만, 050 4 또는 050 0인데 call number(청구기호)를 수정한 경우 year에 x를 붙임
-판차 사항은 같은데 쇄가 다른 경우 264 field에 별도 표시
예를 들어 1판 1쇄를 2000년에 하고 2쇄를 2018에 했다면 판차는 같지만 프린트한 연도는 다르기 때문에 다음 예시처럼 기입해줌 ex) 264 3$$c 2018
[업무 외 활동]
1. Cambridge Center for Adult Education(CCAE) class 수강
퇴근하고 하버드 스퀘어 바로 옆에 있는 CCAE에서 영어 실력 향상을 위하여 Public Speaking & Presentation 수업을 수강하기 시작했습니다. 매주 즉흥적으로 발표(Impromptu speech)를 하는 것이 처음에는 떨리고 부담이 많이 되었지만 몇 번 수업을 들어보니 이제는 떨림보다는 새롭게 배우는 시간들이 즐겁고 빨리 실력이 향상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열심히 수업에 몰입하고 있습니다.
2. Cambridge Public Library(CPL fun)
캠브리지 공공도서관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외국인을 위한 매주 다양한 영어 수업이 무료로 개설되어 있는데 특별한 수강신청 절차 없이 본인이 원하면 시간에 맞춰 언제든지 들을 수 있습니다. 저도 수업을 들으면서 다양한 나라의 친구들과 토론도 하고 공부하며 많이 친해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희끼리 CPL fun이라는 모임을 만들어서 쉬는 날 함께 어울리고 있습니다. Museum of Science에서 열린 Science Festival, 보스턴 마라톤 축제 등도 구경하고, Berklee College of Music(버클리대) 학생들의 정기 공연 등을 찾아 다니며 여가 시간을 보냅니다. 그 중에서도 저는 우주(Space)를 주제로 Harvard undergraduate drummers(Thud)들이 연주한 공연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Boston Marathon 축제기간

CPL fun친구들과 저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