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활동 게시판 > 상세화면

[도서관]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 성희혜 6개월차

  • 등록일 2020.09.02


KF 글로벌 챌린저 월간 활동보고서



상세 활동 보고
작성자 성희혜
인턴십 분류 도서관 인턴십
파견기관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 (C.V. Starr East Asian Library)
파견기간 2020년 2월~ 2020년 11월 (총 10개월)
보고서 해당기간 6개월차
내용
안녕하세요. 컬럼비아 대학교 동아시아 도서관에 파견된 성희혜입니다. 도서관 직원분이 공유해주신 사진과 함께 6개월 차 활동 보고를 시작하겠습니다

컬럼비아 대학교 동아시아 도서관

1. 업무
1) 고서 카탈로깅
선생님께서 구글 드라이브에 고서 사진을 업로드해주시면 그것을 바탕으로 작업을 진행합니다. 크기와 같이 실물을 봐야만 작성할 수 있는 부분은 차후에 보완하기로 하고, 사진으로 확인 가능한 사항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2. 회의
1) Zoom Staff Meeting
매주 화요일에는 동아시아 도서관 직원회의가 진행되었으며, 7월 15일부터 Stage 1에 진입함에 따라 몇몇 직원들이 도서관으로 복귀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달에는 주로 Recovery Plan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먼저, Space Planning과 관련해서는 도서관 운영시간, 출입문 관리자, 건물(Kent Hall) 및 도서관 출입 방법, PPE(개인보호장비)의 위치 및 관리자 등에 대한 세세한 계획을, Paging & Pick-up 서비스와 관련해서는 이용자가 요청한 자료를 비대면으로 안전하게 픽업할 수 있도록 직원 수, 사용되는 공간, Workflow, 필요한 물품, 이용자와의 소통 방법(예: website/blog) 등에 대한 계획을 세웠습니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원활하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태프들의 노력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2) Zoom Columbia University Library Staff Meeting
1주일에 한 번 진행되는 도서관 전체 직원회의에 참석하였습니다. 주로 Book Pick-up 서비스, face coverings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이용자들이 요청한 책들이 종이백에 담겨 픽업될 준비를 마친 모습입니다.

도서관 전체 직원회의
3. Research Services Discussion Group (7/14)
이번 Discussion Group의 주제는 “Remote teaching with primary sources”였습니다. 사서, 큐레이터, 아키비스트 등 4명의 직원이 돌아가면서 짧은 발표를 진행했고, 발표가 끝난 뒤 약 40분간 토론이 이루어졌습니다. 그중 가장 인상 깊었던 발표는 “Remote Teaching with Digital Archives”로, 디지털화된 아카이브를 이용하여 가르치는 것에는 장단점이 있다고 말하면서도, 특히 그 단점들을 지적하였습니다. 바로, 기록 연구의 중요한 특징인 우연한 발견(serendipity), 브라우징, 연구 질문이 연구 과정에 의해 형성된다는 깨달음 등을 학생들이 경험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도서관 전체 직원회의
4. New RDA training pilot (7/16)
이 트레이닝에서는 IFLA Library Reference Model (LRM)의 정의, 개체-관계 모형의 개념, IFLA LRM의 이용자 과업 등에 대해 배웠습니다. LRM이란 2010년부터 각각 발표된 FRBR, FRAD, FRSAD의 3가지 개념모형을 통합한 상위 수준의 개념 모형으로, 기존의 개념 모형들처럼 개체-관계 모형으로 개발되었습니다. LRM의 이용자 과업은 탐색(Find), 식별(Identify), 선정(Select), 획득(Obtain), 항해(Explore)의 5가지입니다. 그리고 LRM에서 새로 추가된 개체에는 행위자(Agent), 노멘(Nomen), 시대(Time-span) 등이 있는데, Agent는 개인(Person)과 집단(Collective agent)의 상위 개체(Super class)입니다.Resume Writing for Career Advanc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