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 美 아카데미영화박물관 봉준호 감독 영화 상영회 및 특별전 지원
- 봉준호 감독이 참여하는 전시 연계 상영회 개최 예정
- 세계 최대 영화 전문 아카데미영화박물관, 봉준호 감독 특별전 개최
- 아카데미상® 4관왕 '기생충'부터 초기작까지 총망라하는 대규모 전시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가 지원하는 봉준호 감독 특별전 < Director’s Inspiration: Bong Joon Ho >가 오늘(3월 23일)부터 2027년 1월 10일까지 미국 아카데미영화박물관(Academy Museum of Motion Pictures, 이하 박물관)에서 개최된다.
아카데미영화박물관은 아카데미시상식을 주관하는 美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AMPAS)가 2021년 LA에 개관한 세계 최대 규모 영화 전문 박물관이다. 이번 봉준호 감독 특별전은 박물관의 < Director’s Inspiration > 전시 시리즈의 일환으로, 앞서 미국 영화의 거장 스파이크 리(Spike Lee) 감독, 누벨 바그의 선구자 아녜스 바르다(Agnès Varda) 감독을 다룬 바 있다.
아카데미상 4관왕 '기생충'부터 초기작까지 다루는 대규모 전시
아카데미영화박물관은 봉준호 감독의 최초 박물관 전시인 이번 특별전을 통해 봉 감독의 창작 과정과 필모그래피를 전체적으로 조명한다. 처음 공개되는 봉 감독의 개인 소장품을 비롯하여 스토리보드·소품·사진·포스터·컨셉아트 등을 통해 관람객들은 유머러스하고 시사하는 바가 많은 스토리에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는 봉 감독의 예술 세계를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봉준호 감독, LA에서 직접 관객들 만나
박물관은 3월 22일부터 4월 14일까지 '기생충'(2019), '옥자'(2017) 등 봉 감독의 작품 7편 상영회를 진행한다. 3월 22일에는 봉 감독의 어둡고 체제 전복적인 작품 세계에 영감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는 존 카펜터 감독의 걸작 ‘The Thing’(1982)이 상영되며, 상영 후 봉 감독과 John Carpenter 감독 간의 대화가 진행 될 예정이다. '옥자' 상영회에는 배우 스티븐 연이 참석하여 봉 감독과 대화를 나누며, ‘기생충’ 상영회에는 봉 감독과 사회자간의 대화가 진행될 예정이다.
박물관의 에이미 호마(Amy Homma) 관장은 “관람객들과 함께 봉준호 감독의 상상력과 비범함을 탐구하고 기념할 수 있어 기쁘며, 아카데미영화박물관은 이번 전시처럼 명성 있는 감독들과의 협업을 통해 그들의 창작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고 전했다.
KF 관계자는 “세계 영화 산업의 메카 LA에 소재한 아카데미영화박물관에서 개최되는 이번 대규모 전시를 통해 거장 봉준호의 예술 세계가 글로벌 관람객들에게 소개될 수 있어 기쁘다”며, “개인 소장품 최초 공개, 연계 상영회 개최 등 다채롭게 구성된 이번 전시가 한국 영화사에 한 획을 그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KF는 절찬리 상영중인 ‘미키 17’을 감독한 봉준호 감독의 이번 전시 외에도 지난 3년간 아카데미영화박물관의 한국영화상영시리즈를 지원해 왔으며, 올해도 우리 문화예술을 통한 공공외교의 일환으로 세계 유수 박물관의 다양한 한국 관련 전시·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전시 개요]
- - 전시명: Director’s Inspiration: Bong Joon Ho
- - 기간: 2025. 3. 23.-2027. 1. 10.
- - 장소: 미국 아카데미영화박물관(Academy Museum of Motion Pictures)
- - 누리집
- 1) (전시) https://www.academymuseum.org/en/exhibitions/bong-joon-ho
- 2) (연계 상영회) https://www.academymuseum.org/en/programs/series/directors-inspiration-bong-joon-ho-film-series
<사진(아카데미영화박물관 전경) 이미지 1부 별첨 >
사진 캡션: 아카데미영화박물관 전경 Photo by Josh White, JW Pictures/ (C) Academy Museum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