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1. 공공외교와 정치 선전의 역사 정리
1919년부터 1953년까지의 시간대를 중심으로 한 공공외교와 정치적 선전의 역사적 방법과 비교법에 대한 강의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2. 중국의 공공외교
저는 중국 외교정책의 역사와 중국 정부가 발표할 수 있는 공공외교 방안을 연구하면서 개인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앞으로도 중국의 대외정책과 대외관계에 대한 요약서를 작성할 계획입니다.
3. 2023년 9월 15일 KF Fellows Mentoring Workshop 참가
한국국제교류재단 LA사무소의 초대로 2023년 KF 박사과정/박사후연구과정 장학생들의 멘토링 워크숍에 참석했습니다.
저는 KF 펠로우들의 논문 주제와 5분간의 발표로 연구 목표를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에 대해 들었습니다. 이 펠로우들은 모두 한국학을 공부하고 연구하는 중이었기 때문에 매우 흥미로운 주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미국 서부에서 근무하고 있는 타 기관의 KF 글로벌 챌린저들과 만나고 UCLA 캠퍼스 내의 역사적인 랜드마크를 방문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4. 2023년 9월 29일 터키 공공외교 학회 - Turkey Conference: Role of Public Diplomacy in Turkish Foreign Policy
USC내의 공공외교 석사과정 학생들과 공공외교 학생 위원회 (Society of Public Diplomats)가 주최한 터키의 공공외교 학회에 참석했습니다. 주미터키대사, 주미아제르바이잔대사가 직접 캠퍼스를 찾아 외교관 생활을 한 경험을 나누었습니다. 최근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아르미나아계 주민들과 아제르바이잔 정부의 무력 충돌로 인해 남가주대학교 내 아르마니아계 학생들이 행사 중 시위를 주도했고 행사장 밖에서도 시위가 계속되었습니다. 1991년 자칭 “아르차흐 공화국”을 세우고 아르메니아계 주민들로 이루어졌던 지역은 국제적으로는 아제르바이잔의 영토에서 자치권을 인정받은 지역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아르차흐 공화국은 2024년 1월 1일부로 모든 국가기관을 해산하는 것을 선언하며 이는 본 지역에 거주하던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의 대규모 피난민 사태로 이어졌습니다. [기사 링크]
5. 2023년 9월 29일 U.S.-China Institute Mid-Autumn Festival
U.S.-China Institute에서 주최한 중추절 행사에 참여했습니다. 월병과 중국 중추절 문화를 소개하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