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활동 게시판 > 상세화면

[도서관] 미국 하버드옌칭도서관 이지은 1개월차

  • 등록일 2017.02.28


KF 글로벌 챌린저 월간 활동보고서



상세 활동 보고
작성자 이지은
인턴십 분류 도서관 인턴쉽
파견기관 Harvard-Yenching Library
파견기간 2017년 2월~ 2017년 11월 (총 10개월)
보고서 해당기간 1개월차
내용
안녕하세요, 2월 1일부터 Harvad-Yenching Library (HYL)에서 인턴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지은입니다. 하버드 옌칭 도서관의 한국학부서는 크게 두 부서로 나뉘어져 있는데, Korean Cataloging 부서와 Korean Auquistions 부서입니다. 저는 Korean Ctaloging 부서에 소속되어 인턴으로 활동한지 한 달이 되었습니다. 한국 대학도서관에서 1년간 일한 경험이 있지만, 제가 배운 것들을 활용하기보다는 새로운 것들을 항상 배우느라 무척 바쁜 2월이었습니다. 첫 보고서이므로 주요활동 외에 기본적인 사항에 대한 내용도 함께 정리하였습니다.

[도착 전 후 생활]
미국으로 출발하기 전부터 보스턴코리아라는 한인사이트를 통해서 집을 미리 알아보았습니다. 집을 직접 보고 구하는 편이 좋기 때문에, 2~3곳 정도의 후보를 정한 후, 집주인과 메일을 통해서 약속을 잡고 보스턴에 도착하여 집을 먼저 보러 갔습니다. 보통Cambridge 주변은 임대료가 무척 비싸기 때문에, 하버드에서 버스로 20분정도 떨어져있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조용한 Belmont라는 동네로 거주지를 선정했습니다. 집을 정한 후, Bank of America에서 은행계좌를 개설하고 KF로부터 송금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Verison보다 저렴한 at&t라는 통신사에서 유심을 사서 핸드폰을 개통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집에서 가까운 SSN Office에 가서 Social Security Card를 신청했습니다. SSN는 모든 합법적인 일자리 고용에 반드시 필요한 제도로서, 한국의 주민등록번호와 일맥 상통합니다. 신청 후 1주일 후에 집으로 카드가 도착하였습니다.

[업무시간 및 휴가]
저는 보통 9시까지 출근을 해서 5시에 퇴근을 하고, 중간에 점심시간을 1시간 갖습니다. 점심은 학교 내에 있는 카페테리아에서 사먹거나 도시락을 싸와도 되는데, 옌칭 도서관 대부분의 사서선생님들은 도시락을 싸와서 각자의 자리에서 드시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휴가는 한 달에 하루씩 지급되고 있습니다. 캐주얼한 복장으로 출퇴근합니다.


[2월달 주요 활동]
1. 하버드 ID 만들기.
2월 1일 첫 출근을 하자마자 관장님 외에, 세계 여러 나라 사서들과 인사를 나누는 시간을 갖고 바로 하버드 ID를 만들러 Harvard International Office (HIO)에 방문하였습니다. 이 때, DS2019 서류와 여권을 꼭 지참해야 합니다. 필요한 서류들을 작성한 후 접수를 한 후, 일주일 후에 다시 와서 사진을 찍고 ID카드를 픽업했습니다.

2. Copy Cataloging
가장 먼저 책이 들어오면 OCLC에서 스캔을 하여 분류하는 작업을 합니다. 만약 OCLC에 DLC나 타 대학에서 Call Number와 Subject Heading까지 완벽히 나와 있는 레코드가 있다면 Copy Cataloging을 할 수 있습니다. 보통 하버드에 들어오는 장서 중 약 15%만이 Copy Cataloging에 해당됩니다. 오류의 유무를 확인하여 수정한 후, Aleph로 레코드를 넘겨서 Macro를 하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각각의 장서들은 Aleph에서 Holding Record와 Bib Record로 나뉘는데, Holding Record는 소장정보를, Bib Record는 책의 정보를 각각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두 정보를 연결시켜주는 것이 Macro작업입니다.

3. Romanization
해외에 있는 한국학 도서관이기 때문에, 모든 레코드의 목록작업에서는 영문과 국문을 함께 써주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McCune-Reischauer Romanization의 숙지는 꼭 필요한 부분입니다. McCune-Reischauer Romanization은 한국에서 사용하는 Romanization과는 다른 표기법으로 쓰고 있기 때문에, 다소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표기법이 통일된다면 훨씬 편리해 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4. Descriptive Cataloging
Descriptive Cataloging은 050필드인 Call Number와 650필드인 Subject Heading을 뺀 나머지 책에 대한 기본사항만을 입력한 레코드를 의미합니다. 저는 아직 Call Number와 Subject Heading을 부여하는 방법을 배우지 않았기 때문에, Descriptive Cataloging까지 해서 Local File에 저장을 하면 사서 선생님께서 검수를 한 후, 필요한 field를 추가하고, OCLC에 올리십니다. 하버드 옌칭 도서관에 들어오는 한국학 장서의 약 75%가 OCLC에는 없는 자료들이기 때문에, Original Cataloging을 하는데 무척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습니다.

5. Toronto에서 개최되는 CEAL Conference의 등록
3월 13일부터 한주간 열리는 CEAL Conference를 위한 사전등록을 하고, 원하는 Workshop을 선택하여 Registration Fee를 우편으로 보냈습니다. 저는 the Standardized Usage Statistics Harvesting Initiative(SUSHI) Workshop과 Cataloging Workshop을 각각 등록하였습니다. 하버드 옌칭 도서관에서는 인턴들에게 1년에 한번, 원하는 Conference의 참가비용을 부담해주기 때문에, 관련내용에 관한 서류와 신청서를 Head Office에 서면으로 작성하여 제출하였습니다.

6. Meeting, Seminar 등의 참관
-All staff meeting: 2/1 Yenching Library 1st floor hall 13:30-15:00
-A Cataloging Discussion Group meeting: 2/10 Lamont Forum Room 11:00-12:30
-Webinar: Cataloging CJK Audiovisual Materials Using RDA: 2/23 14:00-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