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비무장지대를 다녀와서

몇 년 전 남북한 사이의 비무장지대인 DMZ가 방한 외국인들의 인기 방문 코스라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에 이번 기회가 흔하지 않은 여행 열망을 충족시킬 좋은 때인 것 같았다.
사실 나는 입수 가능한 모든 관광 안내책자를 훑어보고 네 군데나 되는 여행사에서 이 ‘모험’을 서울에서 반나절 혹은 하루 일정으로 다녀올 수 있는 코스로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 도로와 강가 사이 수 킬로미터에 걸쳐 철조망이 쳐진 울타리와 정규군 감시초소는 다른 곳의 강들과 이곳을 확연히 달라 보이게 만들고 있었다

자유의 다리에 서다
며칠 뒤 나는 38선을 직접 보고 싶은 호기심을 가진 비슷한 생각의 스무 명 정도 되는 관광객들과 함께 관광버스에 올랐다. 비무장지대에 들어가기 전 우리는 먼저 ‘자유의 다리’ 앞에서 멈춰 섰다. 폭이 15피트(약 4.5미터)가 채 되지 않은 이 단순하고 조그만 나무 다리는 전쟁이 끝날 무렵 수많은 북한 사람들이 물밀 듯 지나갔던 자유를 향한 접근로였다. 5백만이 넘는 한국의 가족들이 비무장지대를 사이에 두고 서로 헤어져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남한의 가족이 북에 있는 가족과 연락할 길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 이 소박한 문이 50년 넘게 보지도 듣지도 못하는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로 향하는 유일한 길을 대신하고 있다. 정작 이 메시지를 받아야 할 사람들이 이것을 읽어볼 가능성은 전혀 없기 때문에 이런 행위는 실질적이라기 보다는 상징적인 것이다.
다른 버스로 갈아타고 검문소에서 차분하게 여권 검사를 한 후 그곳을 지나 우리는 비무장지대 안으로 들어갔다. 이곳에서 우리는 새로 지은 월정역으로 안내되었는데, 이 역은 남한에서 최북단에 있는 기차역이다. ‘꿈의 구장’ 같은 낙천주의적 행위에서 나온 이 현대적이고 넓은 역사는 기차가 남쪽의 서울과 북쪽의 평양 사이를 자유롭게 운행하는 날을 위해 지어졌다. 플랫폼의 표지판은 벌써 승객들에게 ‘서울행/평양행 트랙’을 안내하고 있다.
우리들은 한국전 분쟁의 역사를 자세하게 전시해 놓은 곳으로 안내되었다. 박물관에 전시된 것 중에는 비무장지대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정교한 세 개의 영상 화면이 있었다. 이 6분 간의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에는 두 번에 걸쳐 남북한 가족들이 재회하는 가슴 아픈 장면을 담고 있었다. 상봉 장면은 원초적인 감정을 그대로 보여주었고, 그것을 본 방문객들은 흐르는 눈물을 닦으며 걸어 나왔다.
우리들의 특별한 DMZ 여행의 마지막 방문지는 오두산 통일전망대였다. 우리는 이 마지막 방문지에서 통일전시실에 전시된 북한산 전자제품, 옷, 음식, 교과서 등을 보면서 대신 시간을 보냈다. 우리는 또한 멀리 마을 두 곳을 볼 수 있었다. 하나는 북한의 마을이었고, 또 하나는 남한의 마을이었다. DMZ의 남쪽에 있는 대산동은 전통적인 마을로 남한 정부에 의해 엄격하게 통제된다. 예를 들어 그곳에서 살기 위해서는 선조들이 그 마을에서 살았던 연고가 있어야만 한다. 북쪽의 마을은 기정동인데, 이곳에는 소수의 관리인들만이 살고 있다. 멀리서 보면 현대적인 마을 같아 보이지만 망원경으로 보면 건물에 유리창문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일은 외부 간섭 없이 스스로의 힘으로
마지막으로 내가 보는 관점에서 말할 수 있는 것은, 미래에도 추측 가능한 현재의 주요 여건과 상황 하에서 남북한 통일의 가능성은 아주 요원하다는 것이다. 언제, 어떻게 통일을 이룰 수 있을 것인가는 환상의 세계에서나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 그러나 나는 남북한이 외부 간섭 없이 남북한 사람들 스스로에 의해서 통일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것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남북한 모두가 경제적으로 더욱 강해지고, 양쪽의 내부 분열이 끝나 외부의 간섭이나 조종의 여지를 차단함으로써 남북한이 더 이상 라이벌 세력들의 장기적인 야망을 심화시키는 주요한 전략적 도구로 보여지거나 착취받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는 코리아가 확실한 군사적 억제능력을 가진 중립국가(아시아판 스위스)가 될 때 비로소 가능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