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대학에서 한국학(또는 한국어) 정규 강좌를 신설‧확대하고자 하나 현지에서 적합한 교수요원을 구하기 어려울 경우
한국에서 해당분야 전문가를 선정하여 해외대학에 파견합니다.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연구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거나 신규 운영 예정인 해외 대학
한국어 및 한국학(인문학 및 사회과학)
1~2년
신청서 온라인 제출 apply.kf.or.kr |
신청서 심의 | 심의결과발표 (이메일 발송) |
KF-대학간 협약 체결 KF객원교수 공모 및 선발 KF객원교수 교육 및 현지 파견 |
---|---|---|---|
사업시행 전년도 7월 1일~8월 31일 |
사업시행 전년도 9월~11월 |
사업시행 전년도 12월 |
사업시행 당해년도 |
KF 온라인 신청시스템(http://apply.kf.or.kr)을 통한 온라인 신청
*제출서류는 해당 사업공고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사업내용의 우수성: 사업목적과의 부합성, 사업구성 및 참여자의 우수성
신청단체의 적격성: 해당 분야 국내외 공신력 및 한국관련 활동실적, 사업수행 능력
예상되는 기대효과: 사업성과 및 파급효과의 현실성, 구체성
사업 변경 통보 | 지원신청서 제출 후 변경(취소 및 연기의 경우도 포함)된 내용이 있을 시 변경사항을 KF에 통보해야 합니다. |
---|---|
사업의 보완 또는 조정 | KF는 필요할 경우 신청기관에 사업계획에 대한 보완 또는 일부 사업 내용의 조정 등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협약 체결 | KF의 지원이 결정되면, 객원교수 파견 및 강좌 운영 계획에 대해 신청기관과 협의를 거쳐 지원 협약을 체결합니다. |
보고서 제출 | 수혜기관은 지원기간 중 매학기 말에 재단이 정한 서식을 이용하여 보고서와 강의평가 결과를 제출해야 합니다. |
파견자 선발 | KF의 객원교수 파견자 선발 노력(1-2차 공모)에도 불구하고 수혜기관이 신청한 적임자 선발이 어려울 경우, 수혜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사업이 연기(1학기-1년) 혹은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전화 | +82-2-2046-8541 | 팩스 | +82-2-3463-6075 | 메일 | studies@kf.or.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