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2021 SUMMER

BOOKS & MORE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

Bluebeard's First Wife

작가 하성란, 번역 자넷 홍, 229쪽, 15.95 달러, 뉴욕: 오픈 레터 (2020)

하성란 작가의 단편집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는 인간관계의 가장 어두운 심연으로 가는 여정이다. 상실과 고립, 절망을 서정적으로 그리는 소설은 종종 꿈 속 같다. 엄격한 서사적 구조를 피하고 소품처럼 작은 이야기들이 고운 거미줄처럼 얽혀 있는데 이는 무언가를 강하게 선언하기보다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데 적합하다. 그래서 독자는 그녀의 이야기들이 아주 깊은 감정의 수위를 건드린다고 느낀다. 소설 속 많은 인물들이 경험하는 고통과 비통함을 나누게 되는 것이다.

하성란 작가의 인물들은 주위 세계와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 세상은 단순히 잔인하고 비인격적인 힘이 개인을 무자비하게 망가뜨리는 게 아니다. 이 세상은 다른 인간들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에 존재의 커다란 공포가 있다. 때때로 사람들은 거리를 둔 ‘타인들’, 예를 들어 아파트 위층에서 뛰어다니는 아이들, 혹은 작은 산마을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하는 도시 밀렵꾼, 혹은 약혼자의 이상한 친구들이다. 어떨 땐 이 사람들이 우리와 가장 가까운 이들이기도 하다. 남편, 아내, 딸, 아들처럼. 이 ‘타자들’이 가깝든 멀든, 이 소설집을 관통하는 주요한 주제는 우리가 누군가를 진실로 알 수 없다는 사실이다. 우리가 가장 잘 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어떤 알지 못할 비밀을 숨기고 있을지 모른다. 어쩌면 우리가 알려고 하지 않고 착각 속에 안전하게 머물기를 원할 수도 있다.

소설의 주인공들이 하는 행동을 봐서는 위의 해석이 가능하고 할 수 있다. 고립된 산마을로 서울에서 파견된 경찰은 마을사람들이 이상하고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그들 공동체의 일원이 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 잔디밭이 깔린 전원풍의 삶을 원해 서울 외곽지역으로 이사한 부부는 걷지 못하는 장애인 아들보다 잔디밭에서 활개 치며 뛰어 다니는 개에게 더 신경을 쓴다. 이런 인물들에서 우리는 자신의 꿈과 기대에 못 미치는 것을 피하려는 인간적 경향이 투영되었음을 볼 수 있다. 이들이나 다른 주인공들이 공감력이 있다고 말하긴 어렵지만 그들도 결국 인간일 뿐이라는 것 또한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소설집을 관통하는 또 다른 주제는 ‘외곽’이다. 소설 대부분의 배경이 서울의 외곽이거나 더 멀리 떨어진 시골이다. 도시에서 시작하는 이야기라도 종종 도시의 경계를 넘어 이동한다. 주변으로의 이 같은 이주는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다. 도시의 번잡함에서 도망치고 싶은 욕망이나 어떤 임무를 수행해야 할 필요처럼. 어떤 경우에든 도시를 일단 떠나면 우리는 보통의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불확실한 경계 공간에 있게 된다. 시골에 가면 밀렵꾼이 되는 도시 거주자가 어쩌면 이 같은 현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이다. 하지만 이런 많은 이야기에서 그 현상은 다양한 차원에서 일어나는 걸 볼 수 있다.
하성란의 이야기는 독자를 불편하게 만들 게 분명하지만 많은 것을 생각해보게 한다. 이야기들이 하나의 문제점에 바로 도달하기를 (혹은 하나의 문제점이 있다고 주장하기를 종종 거절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탐구하고 재독함으로써 책은 더욱 흥미로워진다.

한국 미술의 주요한 시기에 대한 연구서

한국 미술: 19세기부터 현재까지

저자 샬롯 홀릭, 264쪽, 60달러, 런던, 리액션 북스 (2017)

저자가 밝히고 있듯이 이 책은 19세기말에서 21세기 초까지 100년 정도에 걸친 한국 미술을 “완벽하게, 백과사전처럼 읽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았다. 대신에 한국사에서 격동의 시기였던 이 기간 동안 이정표가 될 만한 중요한 사건에 초점을 맞춘다. 전체적으로 홀릭은 미술이 한국인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데에 어떻게 관계하는지 파고든다.

첫 장은 조선왕조의 마지막 몇 년을 조명하는데 이때 한국은 근대 국가로 변모하고 미술은 점점 더 정치화된다. 두 번째 장은 식민시기에 관한 것으로 이때 미술에 대한 이해가 엘리트의 독점물에서 모두에게 속한 것으로 변한다. 세 번째 장은 2차 대전 후 북한에서 김일성 이데올로기에 의해 추진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미술이 발전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네 번째 장은 앞 장과 병행해서 이 시기 남한의 경우를 다루는데 남한에서는 추상 미술이 대두한다. 다섯 번째 장에서는 1970년대 민중 미술이 소개된다. 마지막 장인 여섯 번째 장은 지난 몇 십 년 동안 예술에 접근하는 방식에 있어서 한국 예술가들의 변화를 밝힌다.

전체적으로 이 책은 한국 미술사에서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시기에 대한 입문서로서 환영할 만하다. 또한 영어로 쓰인 드문 저서로도 인정을 받을 만 하다.

익숙함과 신선함이 섞인 파스텔

2020 JAZZ KOREA FESTIVAL LIVE at Boomiz

송하철 퀄텟, CD (27분), 서울: 게이트포 뮤직 앤 아트 Gatefor Music & Art

송하철(Song Ha-chul)은 자신의 길을 일찍 찾았다. 어린 시절 클라리넷을 불며 음악에 입문했고 15세 때 재즈 색소폰을 시작했다. 1년 만에 교육과정을 모두 마치고 17세에 경희대 포스트모던음악학과에 입학했다. 이후 그는 뮤지션을 향해 질주했다. 2015년 재즈 전문 매거진 <재즈피플 (JAZZ PEOPLE)>의 ‘라이징 스타’로 선정됐고 ‘자라섬 국제 재즈 페스티벌’, EBS 프로그램 <스페이스 공감> 등 여러 무대에서 인정받는 프로페셔널 색소포니스트로 명성을 얻었다.송하철 퀄텟(Song Ha Chul Quartet)의 EP앨범 ‘2020 JAZZ KOREA FESTIVAL LIVE at Boomiz’는 2021년 2월에 발매되었으며 코로나 19로 인해 2020년 11월 온라인으로 진행된 앙카라의 주터키한국문화원 주최 ‘재즈 코리아 페스티벌’의 공연 실황이다.음반의 첫 곡은 2017년 발표한 데뷔앨범 의 타이틀곡이기도 한 ‘Straight Life’다. 위풍당당하고 펑키한 서수진(Suh Soo-jin)의 드럼 연주 뒤에 행크 모블리(Hank Mobley 1930~1986)를 연상시키는 송하철의 색소폰 연주가 굵직하고 뚜렷하게 자신들의 존재감을 각인시킨다.‘Marionette’는 임채선(Yim Chae-sun)의 몽환적인 피아노 위에 깔리는 송하철의 색소폰이 유독 아름다운 곡이다. ‘카니발의 아침(Manha De Carnival; 1991)’에서 스탄 게츠(Stan Getz 1927~1991)가 자아냈던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매일 낡아가는 익숙한 일상의 시간처럼, 곡은 쓸쓸하게 흘러가다 마친다.‘Going Up’에서는 이동민(Lee Dong-min)의 덤덤한 베이스가 포문을 열면 송하철의 솜사탕같이 부풀어 오른 음색의 색소폰이 뒤따른다. 이어지는‘Somebody's Gold Fishery’에서 송하철의 색소폰 음색은 민첩함과 포근함을 함께 지니며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연주로 분위기를 한껏 끌어올린다.‘한국의 재즈’ 라기 보다는 재즈에 익숙한 모든 이에게 깨끗한 파스텔 톤으로 다가올 앨범이다. 재즈가 처음인 사람도 이끄는 힘을 가졌다.

Charles La Shure Professor,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류태형(Ryu Tae-hyung 柳泰衡)음악 칼럼니스트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